‘고령화 그늘’ 5년 새 25% 증가한 마비환자

‘고령화 그늘’ 5년 새 25% 증가한 마비환자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04-04 17:46
수정 2018-04-05 0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보 “50대 이상 84% 차지”

재활치료율은 오히려 줄어
한번 마비 오면 완치 어려워
이미지 확대
신체마비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이 5년 만에 25% 증가했다. 주로 뇌졸중과 뇌진탕을 경험할 위험이 높은 고령층 환자가 많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4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마비질환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1년 6만 12명에서 2016년 7만 5295명으로 5년간 25.4%, 연평균 4.6% 증가했다. 마비는 중추·말초 신경 손상으로 발생하는 운동·감각 증상을 총칭하는 용어다. 대표적인 증상은 근력 약화로 인한 보행장애와 이상 감각, 신경통 등이다.

2016년 연령대별 환자를 조사한 결과 50대 이상이 83.8%를 차지했다. 70대 이상도 45.5%다. 특히 70대 이상은 2011년 2만 1983명에서 2016년 3만 4333명으로 급증했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60세가 넘으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지고 뇌진탕도 많이 발생하는데 이 때문에 편마비와 사지마비가 늘어난다. 마비 증상이 오면 신체 기능의 회복을 위한 재활치료가 필요하지만 재활치료율은 오히려 줄었다. 환자 중 재활의학과 진료를 받은 비중은 2011년 66.4%에서 2013년 70.2%로 증가했다가 2016년 63.2%로 감소했다.

김형섭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운동 신경이 마비된 뒤 관절 운동을 하지 않으면 관절이 굳는 관절구축이 발생한다”며 “이렇게 되면 통증과 욕창으로 침상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막으려면 재활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환자와 가족이 마비를 없애기 위해 재활치료를 받지만 한 번 마비가 오면 정상이 되진 않는다”며 “재활은 장애를 갖고 사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4-0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