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환자 29%는 0~4세… 집에서 발생 67%

화상 환자 29%는 0~4세… 집에서 발생 67%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12-03 22:46
수정 2018-12-03 23: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뜨거운 음식·물건 원인… 주의 필요

응급실을 찾은 화상 환자 10명 중 3명은 0~4세 영·유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사고 절반 이상이 집에서 발생해 겨울철 뜨거운 음식과 물건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3일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23개 응급실 화상 환자 3만 7106명을 조사한 결과 0~4세 영·유아가 29.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다른 연령대 발생률은 5% 안팎으로 비슷했다. 입원율은 65세 이상 노인이 15.2%로 가장 높았다.

화상을 입은 장소로는 집(66.5%)이 가장 많았다. 이어 상업시설(18.6%), 공장·산업·건설시설(4.3%), 야외·바다·강(2.3%) 순이었다. 화상은 일상생활(61.7%)에서 많이 발생했고 업무(28.1%), 여가 활동(6.9%) 중에도 발생 빈도가 높았다. 환자들은 주로 뜨거운 물체(39.5%)나 뜨거운 음식(30.0%)에 의해 화상을 입었다. 그 밖의 원인은 상시 이용물품(11.7%), 불·화염(5.8%), 난방기구(2.6%), 햇빛(0.7%) 등이었다.

사고로 화상을 입으면 흐르는 수돗물을 이용해 10~15분간 열을 식히는 것이 좋다. 또 물집이 생기면 터트리지 않은 상태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화상 상처 부위 살이 오그라드는 사례가 많아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한 뒤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12-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