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 중 3명 연명치료 반대…장기기증엔 64.6% 찬성

국민 4명 중 3명 연명치료 반대…장기기증엔 64.6% 찬성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2-09 11:00
수정 2019-02-09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사연 연구보고서…52.3% “유산, 가족에 상속할 것”

국민 약 4명 중 3명은 치료 효과 없이 목숨만 유지하는 연명치료를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는 유산을 자녀나 가족에게 상속하겠다는 의향을 보였다.

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죽음의 질 제고를 통한 노년기 존엄성 확보 방안’ 연구보고서(책임연구자 정경희)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죽음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

연구팀은 2018년 9월 만 40세 이상∼79세 이하 남녀 1천500명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등을 파악했다.

조사결과, 전체의 75.7%가 연명치료를 반대했다.

74.5%는 연명치료를 포함해 죽음과 관련한 모든 결정권을 자신이 행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17.9%만이 제대로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미 작성했거나 앞으로 작성할 의향이 있다는 비율은 47.1%로 높게 나왔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나중에 아파서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을 때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서류다. 19세 이상이면 건강한 사람도 지정 등록기관을 통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작성할 수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잘 알고 있는 경우는 25.1%에 그쳤다.

46.0%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뜻이 있다고 했지만, 44.0%는 아직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64.6%는 장기기증에 찬성했다.

또 67.5%는 유언장을 작성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 66.4%는 유언장을 이미 작성했거나 앞으로 작성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임종 이전 재산처리 방식으로 절반이 넘는 52.3%가 자녀 또는 가족에게 상속하겠다고 했고, 26.1%는 자신이 쓰고 싶은데 지출하겠다고 답했다.

19.1%는 일부 재산은 자녀에게 상속하고 일부는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했지만, 사회에 모든 재산을 환원하겠다는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죽음을 앞둔 사람을 위해 가족이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으로는 ‘스스로 죽음을 잘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35.7%), ‘자주 접촉해 사랑을 표현하는 것’(23.5%), ‘신체 통증 감소를 위한 관리’(21.0%) 등의 순으로 꼽았다.

장례식을 하는 이유로는 ‘가까운 지인들에게 이별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31.2%),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28.7%), ‘자녀 등 남은 가족의 도리이기 때문’(18.9%), ‘사망 소식을 알리기 위해’(11.5%) 등의 순으로 답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