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 ‘끝’…3월 들어 의심환자 1천명당 3.9명 ‘뚝’

독감 유행 ‘끝’…3월 들어 의심환자 1천명당 3.9명 ‘뚝’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3-15 10:58
수정 2020-03-15 1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국민 5%는 독감 가능성… 예방접종하세요
국민 5%는 독감 가능성… 예방접종하세요 독감 의심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5일 서울 마포구 한 소아과의원에 내원한 환자들이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2~28일 독감 의사환자는 1000명당 49.8명으로 2019~2020절기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겨울철 대표 호흡기 질환인 독감(인플루엔자)의 유행이 끝났다. 유행 주의보 발령 기준 밑으로 환자 수가 떨어졌다.

15일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를 보면, 2020년도 10주 차(3월 1∼3월 7일) 외래환자 1천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환자(유사 증상 환자)는 3.9명으로 하락했다. 9주 차(2월 23일∼2월 29일) 6.3명보다 2.4명이 낮아졌다.

지난해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기준(5.9명)보다 훨씬 낮아 유행은 종료된 셈이다.

10주 차 연령별 의심 환자는 0세 3.9명, 1∼6세 7.3명, 7∼12세 3.0명, 13∼18세 2.1명, 19∼49세 4.1명, 50∼64세 4.0명, 65세 이상 1.8명 등이었다.

유행주의보 발령기준보다 높은 1∼6세(7.3명)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주의보 기준보다 환자 수가 떨어졌다.

독감 의심 환자는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2019년 11월 15일 이후 증가하다가 2019년 52주 차(2019년 12월 22일∼12월 28일) 49.8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0년 들어 점차 줄다가 2020년 5주 차(1월 26일~2월 1일) 28.0명으로 큰 폭으로 내려가고 6주 차(2월 2일~2월 8일) 16.4명, 7주 차(2월 9일∼2월 15일) 11.6명 등으로 떨어지고 8주 차(2월 16일∼2월 22일) 8.5명으로 한 자릿수로 내려앉았다.

인플루엔자는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과 같은 전신증상과 함께 기침, 인후통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열성 호흡기 질환이다.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가장 당부하는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수칙을 잘 지키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며칠 안에 대부분 호전되지만, 중증은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심하거나 노약자,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 임산부 등 위험군은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신속하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