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행동 의사, 면허 취소 땐 마약·성범죄만큼 재취득 어려워진다”

“집단행동 의사, 면허 취소 땐 마약·성범죄만큼 재취득 어려워진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03-04 00:24
수정 2024-03-04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심의 가이드’ 신설 적용 방침

“환자에게 피해준 의사, 엄격 심사”
재판서 금고형 이상 땐 면허 취소
지금도 재교부율 5~6%대에 불과

이미지 확대
의사 집단행동을 주도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의사 면허가 취소되면 다시 의사 구실을 하기 어렵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집단행동을 이끌어 국민 생명권을 위협한 의사들에 대해 면허 취소 후 재취득이 마약·성범죄에 준하는 수준으로 어렵도록 관련 규정을 손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도 의사면허 재교부율은 5~6%대에 불과한데 더욱 낮추겠다는 취지다.

복지부 관계자는 3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면허 재교부 심의의 공정성과 일관성을 높이고자 심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있다”며 “예를 들어 마약·성범죄로 의사면허가 취소된 자에 대해선 심사를 엄격히 해 면허 재교부 승인이 거의 이뤄지지 않도록 하려 한다. 집단행동으로 환자에게 피해를 준 의사 역시 면허 재교부 여부를 엄격하게 심사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의료법에 따라 재판에서 금고 이상 형이 확정되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 의료법상 면허 재교부 기준은 ‘취소 원인이 된 사유가 없어지거나 개전(뉘우침)의 정이 뚜렷하다고 인정되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경우’라고 돼 있다. ‘개전의 정’은 의사들이 재교부 신청을 할 때 내는 반성문을 보고 판단한다. 명확한 기준이 없다 보니 면허 재취득이 쉬워 2018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의사면허 재교부 신청자 319명 중 126명(39.5%)이 면허를 다시 받았다. 10명 중 4명꼴이다.

면허 재교부 여부를 심의하는 위원회에 전현직 의사가 다수 참여하는 등 심의 환경 자체도 의사들에게 유리한 구도였다. 하지만 2020년 12월 정부가 의료정책 전문가, 시민단체 위원을 추가해 위원회 균형을 일부 맞춘 뒤로 2018년 100%였던 승인율이 2021년 41.8%, 2022년 32.9%, 2023년 9월 기준 8.9%로 갈수록 떨어지는 추세다. 현재는 5~6%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인 면허 재교부 심의 소위원회에는 법조인, 의료분쟁조정전문가, 의료정책전문가, 시민단체, 의료인 14개 직역 대표 등 9명이 참여한다. 이 중 5명 이상이 동의해야 면허를 다시 받을 수 있다. 제도 운용 초기에는 소위원회 위원 중 의사가 4명에 달해 공정성 논란이 일었지만, 현재는 직역 대표로 2명만 참여한다. 의사 면허 재교부 심의를 할 때는 의사 단체에서, 한의사의 경우 한의사 단체에서 직역 대표로 참여하는 방식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재교부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지만, 심사 위원이 수시로 바뀌고 사람인 이상 매번 객관적이고 엄밀한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어 심의 가이드라인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최대한 빨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의료대란으로 인한 면허취소 사례에 적용할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형량 등도 고려해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03-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