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9% “노후에 건강보다 돈이 중요”

국민 39% “노후에 건강보다 돈이 중요”

입력 2018-10-01 23:30
수정 2018-10-02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7년 저출산·고령화 국민인식조사

건강, 지난해 1순위에서 2위로 밀려
국민 10명 중 4명은 노후엔 건강이나 가족보다 돈을 더 중요하다고 여겼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종필(자유한국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성인 2000명 중 39.3%가 ‘경제적 안정과 여유’를 노후의 중요 사항으로 꼽았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1순위였던 건강은 2위로 밀려났다. ‘건강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38.0%로 지난해(48.3%)보다 10.3% 포인트 줄었다. 이어 일자리(6.9%), 이웃 또는 친구와의 관계(6.0%), 취미와 자원봉사 등 여가 활동(4.9%), 가족(4.4%) 순이었다.

●“건강 잃거나 경제력 상실 염려” 74%

노후에 염려되는 사항으로는 건강과 경제력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아프거나 건강을 잃게 되는 것’을 염려하는 비율이 43.4%로 가장 높았고,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가 부족하게 되는 것’이 31.0%를 차지했다. 몸이 계속 건강하다면 언제까지 일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72.9세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일할 수 있는 예상 연령이 4.4세 높아졌다.

또 국민 82.8%가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매우 심각하다’는 20.7%, ‘어느 정도 심각하다’는 62.1%였다. 고령화 현상이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매우 영향 16.4%, 어느 정도 영향 66.7%)은 83.1%였다.

●“40대부터 노후 준비 시작해야” 40%

은퇴 후 다른 일자리에 취업할 가능성에 대해 ‘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3.7%로, 절반가량은 긍정적이었다. 은퇴 후 다른 일자리에 취업할 수 없을 것 같다는 답변은 23.1%에 그쳤다. 노후 준비는 40대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응답이 40.0%로 가장 많았고, 30대부터 해야 한다는 의견도 36.3%로 적지 않았다.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방식(중복 응답)으로는 ‘예금·저축·보험·펀드·주식’이 65.1%였다. 이어 ‘국민연금이나 직역연금’ 60.5%, ‘퇴직연금이나 민간은행·보험사의 개인연금’ 33.7%, ‘부동산’ 19.6% 순이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8-10-0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