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공안부 업무 조정… “기소율 높이기 자구책” 분석도
법무부가 공안 수사 강화를 올해 중점 과제로 내세운 가운데 서울중앙지검이 공안 수사를 더욱 전문화하기로 해 주목된다. 서울중앙지검은 3개의 공안 수사부를 두고 있는 공안 분야 전국 최대 규모 검찰청이다.
간첩 수사가 공안1부로 일원화되는 점이 가장 눈에 띈다. 지금까지는 남파 간첩 등 ‘진짜 간첩’ 사건은 공안1부가, 내부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간첩 사건은 공안 2부가 맡아 왔다. 특히 공안 1부 소속 검사들의 경우 간첩 수사를 주로 담당하는 대검·수원지검 등으로 순환 근무하게 할 계획이다. 이른바 ‘간첩 전문 검사’를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또 대검 공안부가 양성하는 계좌 추적 전문 인력을 각 청에 배치·파견하는 형식으로 ‘공안 과학 수사’도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해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 때 국가정보원의 증거 조작이 이번 조치의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재경지검의 한 검사는 “지방 근무 등으로 업무 연속성이 떨어지는 검찰이 10년 이상 간첩 사건만 다루는 국정원을 완벽하게 지휘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최근 공안 사건 구속 및 기소율이 낮아지는 데 대한 자구책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가보안법 위반 사범 구속률은 2013년 29.5%까지 높아졌지만 지난해 12.3%로 급락했다. 2013년 94건에 달했던 기소 건수도 지난해에는 54건으로 급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5-02-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