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관리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1심 선고 공판이 27일 열린다.
문화·예술계 지원배제 명단인 ‘블랙리스트’ 작성 및 관리 개입 혐의를 받고 있는 김기춘(왼쪽)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결심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이날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이들이 민주주의 원칙을 위배했다며 김 전 실장에게 징역 7년, 조 전 장관에게 징역 6년을 구형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화·예술계 지원배제 명단인 ‘블랙리스트’ 작성 및 관리 개입 혐의를 받고 있는 김기춘(왼쪽)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결심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이날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이들이 민주주의 원칙을 위배했다며 김 전 실장에게 징역 7년, 조 전 장관에게 징역 6년을 구형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수개월째 이어져 온 국정농단 재판에서 블랙리스트와 관련한 법원의 판단이 나오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부장 황병헌)는 이날 오후 2시 10분부터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 청와대 김상률 전 교육문화수석, 김소영 전 문체비서관의 선고 공판을 연다.
그동안 별도로 재판이 진행된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과 정관주 전 문체부 1차관, 신동철 전 정무비서관도 함께 선고한다.
핵심 쟁점은 이들이 박근혜 정권을 비판하거나 야당 정치인을 지지한 문화·예술인과 단체의 명단인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했는지, 만약 사실이라면 이 같은 행위가 범죄가 될 수 있는지다.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은 블랙리스트의 존재 자체를 몰랐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반면 특검은 블랙리스트 작성과 집행을 두고 “대통령과 비서실장 등 통치 행위상 상정할 수 있는 국가의 최고 권력을 남용한 것”이라며 “네 편 내 편으로 나눠 나라를 분열시키려 했고, 역사의 수레바퀴를 되돌려놓았다”고 비판하면서 전원 실형을 구형했다.
특검은 김 전 실장에게 징역 7년, 조윤선 전 장관과 김상률 전 수석에게 각각 징역 6년을 비롯해 김종덕 전 장관, 정관주 전 차관, 신동철 전 비서관 각각 징역 5년, 김소영 전 비서관에게 징역 3년을 구형했다.
이날 법원이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 등에게 유죄 판결을 내리면 동일한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도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리란 전망이 나온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