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 9. 5 김명국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 9. 5 김명국 기자
검찰이 만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길 경우 이 대표는 본인의 ‘친형 강제입원’ 관련 허위사실 공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례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 발언이 ‘적극적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하느냐가 관건이다.
이 대표는 지난해 12월 한 방송사 인터뷰에서 대장동 사업 관계자였던 고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에 대해 “(성남)시장 재직 때 알지 못했다”고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를 받는다. 또 지난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백현동 부지 용도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용도변경을 하지 않으면 직무유기로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고 허위 발언을 한 혐의도 받는다.
대법원 판례는 공직선거법 250조가 규정하는 허위사실공표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때 ‘적극적인 공표’가 있었는지를 따져야 한다고 본다. 발언 내용이 ‘진실과 약간 차이가 있거나 의도치 않은 왜곡’ 정도로는 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대법원은 2020년 7월 이 대표가 2018년 지방선거 당시 토론회에서 ‘친형 정신병원 강제입원’과 관련해 “강제입원을 시도한 적 없다”고 부인한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 사실을 공표한 행위로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또 해당 발언이 ‘직권남용은 없었다’는 취지로 답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의도적으로 의미를 왜곡한 것도 아니라고 판단했다.
법조계에서는 이런 판례로 미뤄 볼 때 이번 혐의에 대해서도 검찰의 유죄 입증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 대표의 발언이 ‘불법행위 사실 또는 그 당시에는 몰랐다’라거나 ‘압박에 대한 느낌’ 등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양홍석 변호사는 “이 대표의 발언이 주요 입증 근거인데 여러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반면 이 사건은 기존 판례와는 전제가 달라 결과 역시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차진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당시 대법원 판례는 선거 토론과정의 특수성을 고려해 공표의 의미를 축소해석한 것이지만 이번 사안은 그 전제가 다르고 주요 발언에서 진실과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곽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