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의 ‘인디애나 존스’ 하늘로 떠나다

진화론의 ‘인디애나 존스’ 하늘로 떠나다

입력 2012-12-04 00:00
수정 2012-12-04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류·양서류 중간종 ‘틱타알릭’ 발견 하버드대 젠킨스 교수

다윈(1809~1882)은 자신의 진화론이 ‘화석을 통해 입증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고생물학계는 화석을 통해 진화 과정을 밝히는 것을 최고의 목표로 삼아왔다. 특히 어류와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조류 등 각 생물의 종류 자체가 바뀌었다는 것을 입증하는 ‘중간종’의 발견은 진화의 핵심 증거로 여겨진다. 시조새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것도 파충류와 조류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중간종은 아주 드물게 발견된다. 아직까지 채워지지 않은 중간종의 자리를 ‘미싱 링크’(missing link)라고 부른다.

이미지 확대
그런 의미에서 지난달 중순 72세로 세상을 떠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패리시 젠킨스 하버드대 교수는 모든 고생물학자들이 부러워하는 행운아였다. 그는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화석을 발굴하는 것을 좋아했던 모험가였다. 체코식 토끼 털모자가 마스코트였고 한 손에는 라이플을, 다른 손에는 보드카병을 든 현실의 인디애나 존스였다. 젠킨스는 자신의 여정을 ‘모비 딕’에 등장하는 포경선 선장 에이햅에 비유한 강연을 즐겼다.

젠킨스는 2004년 캐나다 북부 엘스미어섬에서 새로운 화석 3점을 발견했다. 이 화석은 지느러미와 비늘, 아가미 등 전형적인 어류의 구조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어류에는 없는 갈빗대와 목, 머리가 동시에 있었다. 지느러미에는 관절과 손가락뼈가 있어 사지동물처럼 기어서 이동할 수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얕은 물에 사는 큰 물고기’를 지칭하는 이누이트족 말 ‘틱타알릭 로제’로 이름지어진 이 정체불명의 동물은 2006년 4월 과학저널 ‘네이처’에 소개됐다. 상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어류에서 육상 사지동물로의 진화과정을 설명해줄 중간종이 처음으로 공개되는 순간이었다. 젠킨스는 “틱타알릭은 우리의 조상들이 어떻게 물을 떠났는지를 증명해줄 존재”라는 말을 남겼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12-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