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과 급식실에서 떠도는 독감 바이러스 잡아낸다

교실과 급식실에서 떠도는 독감 바이러스 잡아낸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5-04-03 14:00
수정 2025-04-03 1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호흡기 바이러스 유행 주의보
호흡기 바이러스 유행 주의보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10일 오전 경기 용인시 기흥구의 한 소아과에 호흡기 질환 환자 증감 추이가 적힌 안내판이 붙어 있다. 2025.1.10


보통 독감이라고 하는 인플루엔자는 12월 말에서 1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고, 내림세를 보이다 3월 개학 전후로 소폭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런데, 올해는 개학 이후 어린이와 청소년을 중심으로 독감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감염되는 질병이다. 많은 사람이 모이는 학교나 병원에서 쉽게 확산하기 쉽다. 국내 연구진이 실내 공기에 떠도는 바이러스를 빠르게 찾아내 바이러스성 감염병을 조기에 감지하고 확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실내 공기 중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감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에서 발행하는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 ‘환경 과학과 기술’ 3월 30일 자에 실렸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공기를 기기 안으로 흡입한 뒤, 그 안에서 바이러스 입자에 수분을 응축시켜 포집하고 종이 면역 센서로 검출하는 방식이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는 작고 가볍기 때문에 포집이 쉽지 않다. 그래서 바이러스 표면에 물방울을 입혀 크고 무겁게 만든 다음에 포집하는 원리다. 기기 내부에 빠른 공기 흐름을 만들어 바이러스 물방울은 공기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포집기 표면에 충돌해 달라붙게 된다. 포집기에 모인 바이러스 표본을 단백질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종이 면역 센서에 옮기면 바이러스 유무를 30분 안에 알아낼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바이러스 검출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검출된 바이러스가 실제 감염력을 가졌는지까지 알 수 있다. 기존 PCR 검사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DNA와 RNA를 검출하는 방식이라 고가 장비가 필요하고, 유전물질 증폭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 죽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도 검출하기 때문에 실제 감염력이 있는지도 알 수 없다. 실제로 이번에 개발한 기술로 초등학교 교실, 복도, 식당 등에서 총 17개의 공기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그중 4건에서 A형 독감 바이러스(H1N1)가 검출됐다. 기존에 에어로졸 역학 조사에 쓰이는 상용 장비로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연구를 이끈 장재성 UNIST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인플루엔자뿐 아니라 코로나19를 포함한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 병원, 학교 등 다양한 공간에서 조기 감염 감시와 대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