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배들 멘토 되고 싶다”
샅바를 처음 잡아 본 건 21살 때였다. 앳된 대학생이었다. 벌써 5년 전 일이다. 다니던 부산 동아대의 체육대회에 여자씨름 종목이 있었다. “수정아 네가 한번 나가볼래.” 주위 선배들이 부추겼다.중학생 시절 유도를 했다는 게 이유였다. “넌 중심이 좋으니까 잘할 거야.” 한번 해보자 싶었다. 못할 것도 없다는 마음. 샅바 잡는 법도, 기술 거는 법도, 규칙도 잘 몰랐지만 무작정 참가했다. “이것도 추억이니까. 재미있는 기억이 될 테니까.” 올해 ‘여자씨름 9관왕’, ‘여자 이만기’, ‘씨름판의 여왕’, 임수정은 이렇게 씨름과 만났다.
그런데 처음 나간 교내 대회에서 덜컥 우승했다. 훨씬 덩치 큰 상대도 쉽게 넘겨 버렸다. 그저 자연스럽게 몸이 움직였다. 씨름에 빠졌다. 그냥 ‘재미’가 아니라 ‘치명적인 매력’이 있었다.
“신기하더라고요. 힘으로만 하는 게 아니라 더 큰 상대의 힘을 역이용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게.” 그러면서 사람들 눈에 띄었다. 2006년 주변에서 “부산 대회에도 나가 보자.”는 권유가 쏟아졌다. 또 우승했다. 어느새 임수정은 부산을 대표하는 여자씨름 선수가 됐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여자 이만기’ 임수정이 지난 10월 국민생활체육 대천하장사씨름대회에서 우승하며 8관왕을 차지한 뒤 두 팔을 번쩍 들어 관중에게 인사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후 좌충우돌 씨름 인생이 시작됐다. 여자씨름은 그즈음 생활체육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전국에서 씨름 대회가 열렸다. 학교 공부를 하면서 대회 직전이면 며칠씩 연습했다. 그해 대통령배 대회에 부산대표로 참가했다. 대통령배는 한해 생활씨름 대회 가운데 최고 권위를 가졌다.
처음 나간 큰 대회라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체중감량부터 문제였다. 임수정의 평소 체중은 65㎏ 정도. 그런데 60㎏ 이하급으로 나섰다. 일주일 만에 5㎏ 이상을 뺐다. 그저 무식하게 굶었다. 컨디션이 엉망이었지만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에서 만난 건 시드니올림픽 유도 대표 출신이었다. 시합을 마친 뒤 상대가 악수를 청했다. “넌 씨름으로 대성할 수 있겠다.” 그 말은 현실이 됐다.
당시만 해도 여자씨름은 선수 수가 수십명에 불과했다. 요 몇년 새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등록 선수만 500명 가까이 된다. 불과 5년 전 기술도 없이 힘으로 밀어붙이기만 했던 선수들이 이제 들고 잡치고 후리기까지 한다. 매년 대회 수도 늘어나는 추세다.
임수정은 데뷔부터 지금까지 항상 압도적인 챔피언이다. “처음에는 운동신경으로 그냥 이겼던 거 같아요. 지금은 다들 기량이 좋아져서 한판 한판이 힘들어졌죠.”
●“전업 여자씨름 선수로 새 길 열고 싶어”
임수정은 지난해 학교를 졸업했다. 바로 취업을 했다. 현재 한국엔 여자씨름팀은 없다. 모두 생활체육인으로 등록돼 있다. 일을 하면서도 임수정은 씨름을 포기하지 않았다. 대회가 다가오면 며칠 연습해 나가는 패턴을 반복했다. 그런데 이게 점점 힘들어졌다. “다들 실력이 좋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니까 이제 그런 식으로는 안 되겠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임수정은 올해 중요한 결단을 했다. “전업 씨름 선수로 살자.”
주변에서 모두 말렸다. 팀도 없고 미래도 확실하지 않은 상황. 어찌 보면 만류하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임수정은 안 흔들렸다. “모르겠어요. 제 미래가 어찌 될지는 그런데 전 씨름이 너무 재미있어요. 매일 훈련하는 시간만 기다려져요.” 결국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은 못 당한다.
임수정은 올해 대통령배를 비롯 여자천하장사대회, 대천하장사 등 9개 대회를 석권했다. 앞으로도 씨름을 포기할 생각은 없다. “제가 길을 열고 싶어요. 씨름하는 여자 후배들이 나를 보고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여자 장사의 목소리가 밝았다.
부산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12-23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