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축구 3차 예선] ‘아스널맨’ 박주영 이적축포 팡!팡!팡!

[월드컵 축구 3차 예선] ‘아스널맨’ 박주영 이적축포 팡!팡!팡!

입력 2011-09-03 00:00
수정 2011-09-03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승리는 당연했다. 몇 골 차인지가 중요했다. 일본에게 당했던 ‘삿포로 참사’를 한 방에 만회할 대승이 절실했다. 태극전사들은 기대했던 골 폭풍을 몰아쳤다.

이미지 확대
2일 경기 고양시 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014년 브라질월드컵 축구 아시아 3차 예선 한국-레바논 전에서 박주영이 해트트릭을 완성시킨 뒤 엄지손가락을 치켜 들고 있다. 연합뉴스
2일 경기 고양시 종합운동장에서 열린 2014년 브라질월드컵 축구 아시아 3차 예선 한국-레바논 전에서 박주영이 해트트릭을 완성시킨 뒤 엄지손가락을 치켜 들고 있다.
연합뉴스




2일 경기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무려 6골이 폭죽처럼 터졌다. 최근 프리미어리거가 된 ‘캡틴’ 박주영(아스널)이 해트트릭으로 이적 축포를 쐈다. 지동원(선덜랜드)이 두 골을, 김정우(상주)가 한 골을 보탰다. 레바논의 골은 없었다. 2014브라질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을 시작한 한국의 발걸음도 한결 가벼워졌다.

내셔널리그 고양 국민은행에 대패(0-4)한 레바논은 조광래호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전반 7분 만에 박주영이 논스톱 오른발 슈팅으로 골망을 갈랐다. 새 팀을 물색하느라 경기력이 떨어졌다는 우려를 비웃기나 하듯 감각적인 발놀림으로 주장의 카리스마를 뽐냈다. 전반을 1-0으로 마치기 아쉬웠는지 인저리타임에는 두 번째 골을 뽑았다. 기성용(셀틱)의 코너킥을 머리로 넣은 것.

한국의 득점 행진은 후반에도 이어졌다. 후반 20분 지동원이 다이빙 헤딩슛으로 한국의 세 번째 골을 성공시켰다. 환호가 채 끝나기도 전에 박주영이 한국의 네 번째 골이자 본인의 세 번째 골을 넣었다. 후반 36분에는 김정우가, 4분 뒤엔 지동원이 골망을 흔들었다. 시원한 대승이었다.

분위기는 절정이었다. 그러나 손쉬운 경기를 한 탓에 제대로 짜임새를 맞춰보지 못한 점은 아쉽다. 조광래 감독의 최대 고민인 수비 조합도 검증받지 못했다. 레바논이 이렇다 할 공격을 보여주지 못해서다. “자만심이 최고의 적”이라던 조 감독의 걱정대로 기회를 내준 아찔한 장면도 있었다.

그래도 무난했다. 승부 조작 무혐의 판정을 받고 돌아온 홍정호(제주)는 오랜만에 이정수(알사드)와 센터백 콤비로 나서 안정적인 모습을 선보였다. 차두리(셀틱)와 홍철(성남)은 적극적인 오버래핑으로 측면 공격에 날개를 달았다. 정강이 골절로 빠진 이청용(볼턴)의 자리에 선 ‘드리블 소년’ 남태희(발랑시엔)도 세밀한 패스를 앞세워 합격점을 받았다. 몸 풀 듯 첫 경기를 마친 대표팀은 이날 밤 곧장 적지로 떠나 쿠웨이트와의 3차 예선 2차전(7일 오전 2시)을 준비한다.

한편 일본은 이날 사이타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북한과의 아시아 3차 예선 1차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 터진 야스다 미치히로(비테세아른험)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힘겹게 이겼다. 일본은 일방적인 공격을 펼치고도 북한의 밀집 수비에 막혀 골문을 열지 못했다.

그러나 후반 추가 시간 오른쪽 측면에서 올라온 크로스를 공격에 가담한 수비수 야스다가 극적인 헤딩 결승골로 연결시켰다. 북한은 정대세(보쿰), 안영학(가시와), 량용기(센다이) 등 정예 멤버를 내세웠지만 이렇다 할 골 찬스조차 잡지 못하다 결국 막판 무너졌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09-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