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뷔 첫 시즌에… 심석희, 6개대회 연속 金

데뷔 첫 시즌에… 심석희, 6개대회 연속 金

입력 2013-02-12 00:00
수정 2013-02-12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쇼트트랙 월드컵 1500m 우승…1000m 이어 대회 2관왕

여자 쇼트트랙 ‘차세대 여왕’ 심석희(16·오륜중)의 금메달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심석희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린 2012~13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6차대회 여자 1500m 2차 레이스에서 2분26초436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앞서 열린 1000m에서도 우승을 차지해 대회 2관왕에 올랐다. 심석희와 함께 레이스를 펼친 김민정(28·용인시청)은 2분26초535로 은메달을 차지했으나 뒤이어 들어온 최지현(19·청주여고)은 실격 처리됐다.

올 시즌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심석희는 지난해 10월 월드컵 1차대회 3관왕에 오른 것을 시작으로 1500m에서 여섯 대회 연속 금빛 질주를 이어갔다. 주니어 시절부터 세계주니어선수권과 동계유스올림픽 등 각종 국제대회를 휩쓸며 ‘제2의 전이경’으로 기대를 모았던 심석희는 첫 시니어 무대에서도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심석희의 장점은 173㎝의 큰 키. 긴 다리 덕분에 추진력이 뛰어나고, 장신인데도 안정적인 스케이팅을 펼친다. 큰 체격 덕에 몸싸움에서 밀리지 않으며, 순발력도 갖추고 있다.

세화여고에 진학할 예정인 심석희는 내년 소치 동계올림픽까지 더욱 뻗어나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노골드 수모를 당한 대표팀에서 가장 기대받는 선수다.

한편 남자 1500m 2차 레이스에서는 노진규(21·한국체대)가 2분18초203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윤재(고려대)가 2위(2분18초488)로 결승선을 통과해 남녀 1500m 금, 은메달을 모두 한국이 휩쓸었다.

남자 5000m 계주 결승에서는 노진규와 김윤재, 김병준(25·경희대), 신다운(20·서울시청)이 팀을 이뤄 6분44초584의 기록으로 네덜란드(6분44초806)를 꺾고 금메달을 땄다. 여자 3000m 계주팀은 지난 3일 러시아 소치 5차 대회에 이어 또다시 1위로 골인하고도 아쉽게 실격 처리됐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2013-02-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