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인천AG선수촌 2인실’-2-1 26일 오전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선수촌 보도진 공개행사가 인천 남동구 구월동 선수촌 국기광장에서 열렸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여기는 인천AG선수촌 2인실’-2-1
26일 오전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선수촌 보도진 공개행사가 인천 남동구 구월동 선수촌 국기광장에서 열렸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17일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에 따르면 인천 남동구 구월동 인천아시아선수촌에서는 아직 전체 선수단이 입촌하지 않았지만 하루 비치분 5000개의 콘돔이 소비되고 있다.
선수촌 내 편의시설인 거주자서비스센터에 콘돔을 비치해 놓고 입촌자들이 자유롭게 가져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매일 동이 나고 있다. 조직위 관계자는 “한국에이즈퇴치연맹 등의 후원으로 10월 3일까지 총 10만 개의 콘돔을 선수촌에서 배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2002 부산아시안게임 때에는 7만 5000개의 콘돔이 배포됐다.
콘돔 배포는 1992 바르셀로나올림픽 이후 일종의 주요 스포츠 대회의 전통으로 자리잡았다. 2012 런던올림픽에선 약 15만개의 콘돔이 배포돼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2008 베이징올림픽과 2014 소치동계올림픽 때도 각각 10만개의 콘돔이 나갔다.
콘돔 소비가 이처럼 폭발적인 것은 입촌자들 중 상당수가 대회 엠블럼이 찍혀 있는 이 콘돔을 기념품으로 챙겨가기 때문이다. 젊은 남녀가 밀집해 있는 선수촌 특성상 실제 용도로 쓰이기도 하겠지만 기념품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2009년에는 2008 베이징올림픽 대회 콘돔 5000여개가 경매시장에 나오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