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저자들, 대회 기간 성관계가 늘어난 결과라고 추정 눈길
2010년 남아공월드컵 폐막 9개월 뒤 남아공의 신생아 비율을 조사해보니 사내 아이들이 갑자기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Witwatersrand 대학의 Gwinyai Masukume 박사는 “월드컵이 스트레스를 날려주고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만든다. 사람들이 자신들과 조국에 대해 더 나아진 느낌, 긍정적인 느낌을 월드컵 이후 갖게 됐다는 연구 결과는 많이 나와있다”면서 “사람들이 더 빈번하게 성관계를 가지면 가질수록 여자 아이보다 사내 아이들이 태어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논문 저자들은 이렇게 성비가 바뀐 의학적 이유로 손상되지 않은 정자의 운동능력 덕이거나, 성관계 빈도가 증가했거나 아니면, 임신 중의 사내 태아 사망률이 감소했을 가능성 등을 꼽았다. 이어 그들은 “우연이거나 계절적 영향 때문은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영국 셰필드 대학 남성병학(andrology)과의 앨런 파시 교수는 “남성의 비율이 전쟁이나 자연재해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은 오랜 세월 알려져온 일”이라면서도 “여전히 그 이유는 밝혀진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남자가 짧은 기간 Y염색체(사내를 잉태할 수 있는) 정자를 훨씬 많이 생산할 수 있게 되거나 여자의 몸이 성접촉 후 이런저런 방식으로 정자를 분류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X염색체와 Y염색체가 난소에 도달하는 비율을 바꿀 수 있다는 추정 정도가 지금까지의 이론이라고 말했다.
파시 교수는 이어 “이런 모든 일들은 믿기 어려운 생체 메카니즘이 빚어낸 결과이지만 어떤 것들이 인구 중의 사내 비율을 변화시키도록 하는지 누구도 알지 못한다”고 못박았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