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이크존 변화, 현장에서는 “넓어졌다” 의견 우세

스트라이크존 변화, 현장에서는 “넓어졌다” 의견 우세

입력 2017-03-16 14:27
수정 2017-03-16 14: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3할 타자만 40명…타고투저 역대 최고 수준

“예전이었으면 볼이 됐을 공이 4~5개는 잡아주더라. 투수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 (LG 양상문 감독)

“높은 공 1~2개 정도를 잡아 줄 정도다. 아직까진 확 피부로 와 닿지는 않았다.” (두산 김태형 감독)

KBO리그의 비좁은 스트라이크존은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부진한 한국야구의 문제점 가운데 하나로 지적됐다.

지나치게 스트라이크존이 좁다 보니 타고투저 현상이 심화했고, 타자가 국제규격에 맞는 선구안을 기르는 데 오히려 방해가 됐다는 논리에서다.

지난해 KBO리그는 리그 타율이 0.290에 이르렀고, 규정타석을 채운 선수 중 40명이 타율 3할을 넘어 역대 최고 수준의 타고투저였다.

이러한 지적에 김풍기 KBO리그 심판위원장은 WBC 서울라운드 종료 후 “올해는 선수들이 스트라이크존이 커졌다고 느낄 정도일 것”이라고 말해 조정을 예고했다.

14일 KBO리그 시범경기 개막 후 2경기를 치른 현재 현장에서는 대체로 스트라이크존이 확실히 넓어졌다고 말한다.

스트라이크존에 민감한 포수는 이를 크게 체감한다.

16일 한화-넥센전을 앞두고 대전구장에서 만난 한화 포수인 차일목은 “첫날(14일)은 잘 모르겠던데, 어제(15일)는 확실히 넓어진 게 느껴졌다. ‘이 정도면 잡아줄 만하다.’ 싶은 건 스트라이크를 부르더라”고 말했다.

2경기 모두 마스크를 썼던 넥센 포수 김재현 역시 “공 반 개가 아니라 1개는 더 넓어진 것 같다”면서 “특정 코스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다 넓어진 느낌이다. 심판 성향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것 같다”고 말했다.

넥센 내야수 김민성은 “높은 공과 바깥쪽 공은 (작년과 비교해) 공 반 개 정도 더 잡아준다. 정규시즌에 들어가면 타자에게 크게 느껴질 것 같다”면서 “타자도 타석에서 적응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 양상문 감독도 “14일 경기 기준으로 예전이었으면 볼이 됐을 공이 스트라이크가 된 게 4~5개가 있었다. 존이 확실히 유지된다면 투수에게 도움될 것”이라고 동의했다.

이제 2경기를 치러 아직은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사직구장에서 두산-롯데전을 앞두고 두산 김태형 감독은 “높은 공을 조금 더 잡아줄 정도”였다고 말했고, 15일 SK전에서 선발로 던진 롯데 투수 김원중은 “이제 한 경기 던져봐서 아직은 모르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