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주머니 털어 햄버거 300개로 우승 축하 만찬 ‘셧다운 탓’

트럼프 주머니 털어 햄버거 300개로 우승 축하 만찬 ‘셧다운 탓’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1-15 18:55
수정 2019-01-15 2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워싱턴 EPA 연합뉴스
워싱턴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미국대학체육협의회(NCAA) 미식축구 전국선수권을 제패한 클렘슨 대학 선수들을 백악관으로 초대했는데 패스트푸드를 접대해 눈길을 끌었다.

국빈 만찬장에서 연방정부 셧다운 때문에 “미국인들의 패스트푸드”를 접대한다며 햄버거와 피자 등을 몽땅 본인 돈으로 내는 것이라고 생색을 냈다. 은제 접시 위에 웬디스와 버거킹, 맥도널드의 빅맥 등 햄버거 제품 300개와 감자튀김 등을 그대로 쌓아놓았다. 올리브와 토마토를 토핑한 피자 판도 자기 세트 옆에 놓여 있었다. 뉴올리언스를 찾았다가 백악관에 돌아오는 길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어떤 것보다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렇게 덩치 큰 사람들이 먹게 만들었는데 우리는 별로 즐거울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이렇게 패스트푸드로 접대하는 데 얼마나 들었는지 밝히지 않았다.

백악관 풀 기자들은 몇몇 선수가 “웁스”라고 놀라워 했다고 전했다. 사실 트럼프 대통령 본인이 누구보다 패스트푸드를 즐긴다.

그는 “여러분께 아무 음식도 제공 않거나 퍼스트 레이디가 세건드 레이디와 함께 만드는 값싼 샐러드를 먹게 하는 것이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며 “그럴 바에야 우리가 자랑하는 미국인의 햄버거 1000개를 나가서 사오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새러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은 백악관에서 일하는 많은 스태프들이 셧다운 때문에 월급을 못 받고 있다며 “그래서 대통령이 일부만 좋아하는 패스트푸드를 케이터링 주문하고 비용을 부담했다”고 설명했다.
클렘슨 대학 선수들은 트럼프 취임 후 2017년 6월에 이어 두 번째로 백악관을 찾았다. 그때는 바베큐 오찬을 대접했다. 와이드리시버 헌터 렌프로는 “1년 중 먹어본 최고의 음식”이라고 극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쿼터백 트레버 로런스를 향해 “이 키 크고 잘 생긴 쿼터백의 에이전트를 하고 싶다. 201㎝로 정확한 패싱 능력을 자랑한다. 정말 잘한다”고 칭찬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