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금메달을 확신했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었다. 혹여 착지가 불안하지 않을까 걱정이었다. 한국 체조 도마 1인자 양학선(18·광주체고)은 심호흡을 한번 하고 출발선에 섰다. 전력으로 달려나가 구름판을 힘차게 밟았다. 옆으로 세 바퀴를 비틀었다. 두 발이 거의 떨어지지 않았을 정도로 착지는 완벽했다. 두 차례 시도 모두 성공이었다.
이미지 확대
양학선 금메달 17일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타운 체육관에서 열린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딴 양학선이 시상대 위에서 꽃다발을 흔들고 있다. 광저우=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양학선 금메달 17일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타운 체육관에서 열린 제16회 광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딴 양학선이 시상대 위에서 꽃다발을 흔들고 있다. 광저우=연합뉴스
조정동 감독과 김동화 코치는 얼싸안고 금메달을 확신했다. 전광판의 점수는 1, 2차 평균 16.400점. 금메달이었다. 2위 펑저(15.850점·중국)와는 0.5점이 넘게 차이가 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양학선은 두 팔을 번쩍 들어올리며 환하게 웃었다.
양학선은 항상 착지가 불안했다. 아시안게임을 두 달 앞둔 지난 9월 4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대회에서는 발목 부상까지 당했다. 마루경기 도중 착지를 하다 발목이 먼저 떨어진 것. 인대가 늘어났다. 일주일 동안 연습을 쉬어야 했다. 대회가 다가올수록 발목 부상이 재발할까 염려했지만 다행히 컨디션은 좋았다. 대회 2연패를 노리던 리세광(25·북한)이 나이 조작 파문으로 북한이 안 나오는 점도 불행 중 다행이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