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리그 올해도 타고투저 심각
KBO리그가 올해도 뚜렷한 타고투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3점대 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팀이 자취를 감췄다.
2000년 이후 3점대 평균자책점 팀이 전멸한 것은 2001년과 지난해 두 차례뿐이다. 극심한 타고투저 현상이 나타난 2001년에는 현대의 4.34가 가장 좋은 팀 평균자책점이었고, 지난해는 NC가 4.29로 1위에 올랐다.
메이저리그(MLB)나 일본프로야구(NPB)와 비교하면 KBO리그의 타고투저가 더욱 두드러진다. MLB는 세인트루이스(2.71)와 피츠버그(2.88) 등 2점대 평균자책점 팀만 2곳 있으며, 30개 구단 중 18개 팀이 3점대 이하를 기록하고 있다. NPB도 요미우리가 2.71의 짠물 피칭을 하고 있으며, 12개 구단 중 11개 팀이 3점대 이하다. NPB에서 평균자책점이 가장 좋지 않은 지바롯데(4.32)가 KBO리그 3위 KIA보다 좋다.
KBO는 올 시즌 스트라이크 존을 확대하는 등 타고투저를 완화하려는 노력을 펼쳤지만 별다른 효과가 없다. 테임즈(NC)와 나바로(삼성), 브라운(SK) 등 지난해부터 가세한 외국인 거포들이 가공할 만한 장타력을 뽐내는 게 원인이다. 10구단 kt의 허약한 투수진도 타고투저 현상을 키웠다. kt의 팀 평균자책점은 9위 롯데(5.09)보다 크게 낮은 5.80에 머물고 있다.
특급 투수들이 눈부신 활약을 펼쳐 타고투저로 인한 흥미 반감을 막는 것은 다행이다. 피가로(삼성)와 유희관(두산)은 벌써 10승 고지에 올라 20승 고지를 노리고 있다. 양현종(KIA)은 1.37의 빼어난 평균자책점으로 군계일학의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밴헤켄(넥센)은 소화한 이닝(89와3분의2이닝)보다 많은 탈삼진(97개)을 기록 중이다.
24일부터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예보돼 우천 취소 경기가 나오고 투수들은 체력 회복 시간을 벌 것으로 보인다. 비로 인한 휴식일을 얻은 투수들이 뜨겁게 달궈진 타자들의 방망이를 식힐 수 있을지 관심이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5-06-2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