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⑬드라이버는 왜 배 불뚝이일까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⑬드라이버는 왜 배 불뚝이일까

최병규 기자
입력 2015-06-24 00:22
수정 2015-06-24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이 헤드 정중앙 안 맞아도 타깃 향하게 한 ‘장치’

드라이버나 우드 등의 골프채를 조금만 자세히 보면 아이언과는 달리 헤드의 페이스 면이 불룩 튀어나온 걸 발견할 것이다. 왜 평평하지 않고 개구리 배처럼 불룩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페이스를 불룩하게 만든 것(Bulge)은 공이 헤드의 정중앙(스위트 스팟)에 맞지 않아도 궁극적으로는 타깃을 향해 날아갈 수 있도록 한 ‘장치’다. 공이 클럽의 바깥쪽(토·toe) 부분에 맞을 경우 오른쪽으로 휘는 슬라이스나 아예 처음부터 오른쪽으로 밀려 맞는 ‘푸시’성 타구가 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러나 토 부분에 공이 임팩트되는 순간 헤드는 무게 중심(CG)의 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고 헤드의 페이스도 열린다. 이때 헤드의 바깥쪽에서 중앙 쪽으로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이른바 ‘기어 효과’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사이드 스핀이 발생한다. 공이 헤드의 안쪽(힐·heel)에 맞게 되면 이와는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페이스가 평평하다면 이에 따라 헤드의 바깥쪽에 맞을때는 타구가 왼쪽으로 휘어나가는 훅(hook)이, 안쪽에 맞게 되면 반대로 슬라이스가 생기게 된다. 타구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휘어질 예상치를 미리 감안한 결과 개구리 배처럼 불룩한 페이스 면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드라이버나 우드의 헤드는 천편일률적으로 같은 수치만큼 불룩할까. 불룩한 정도(Bulge Angle)는 헤드의 무게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무게 중심의 위치를 적절하게 적용하면 훅은 드로우샷으로, 슬라이스는 페이드샷으로 멋지게 변신을 하게 된다.

아이언의 경우 헤드 두께는 드라이버·우드보다 훨씬 얇다. 당연히 무게 중심이 페이스 면에 아주 가깝기 때문에 ‘개구리 배’가 필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장타와 정확성이 동시에 필요한 우드의 경우에는, 페이스가 곡선 형태를 나타내는 벌지각(Bulge Angle)이 존재해야 페이드샷과 드로우샷이 가능하며 미스샷도 최소화할 수 있다.



cbk91065@seoul.co.kr
2015-06-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