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에이스·베테랑·신성까지…12년 만에 ‘금’ 남자정구

<아시안게임> 에이스·베테랑·신성까지…12년 만에 ‘금’ 남자정구

입력 2014-10-04 00:00
수정 2014-10-04 13: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남자 정구 대표팀의 12년 만에 아시안게임 금메달 쾌거는 에이스, 베테랑, 신성 등 모두 제 몫을 톡톡히 해낸 결과다.

대표팀 최고참 박규철(33·달성군청)은 베테랑 답게 선수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도맡았다.

남들보다 다소 늦은 2012년 국가대표를 시작했으나 그해 아시아선수권 단체전 은메달, 남자 복식 은메달을 수집하며 대표팀의 뒤를 받쳤다.

아시안게임에서는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혼합복식에서 김지연(20·안성시청), 남자복식에서 이상권(27·서울시청) 등 신예 파트너를 이끄는 역할을 해냈다. 앞선 2경기에선 금메달을 따내지 못했지만 마지막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어 환하게 웃었다.

이상권은 지난해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았다.

그의 주 무기는 커팅 서비스다. 왼손잡이인 그가 볼을 깎아쳐 서브를 넣으면 바운드가 낮아 상대가 받아넘기기 어렵다.

단식보다는 복식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지난해 처음 대표로 나간 동아시안게임 단체전 동메달을 따고 혼합복식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며 성공적인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다.

김동훈(25·문경시청)은 국내 남자 정구 1인자다.

처음으로 성인 국가대표에 뽑힌 2008년 아시아선수권에서 2관왕을 차지하며 혜성처럼 등장한 그는 이듬해 국내 랭킹 1위에 오르는 거침 없는 상승세를 보였다.

2011년 세계선수권에서 2관왕을 차지한 그는 2012년 아시아선수권에서도 단체전과 단식 금메달을 휩쓸어 최강자임을 입증했다.

지난해 동아시아경기대회에서 한국의 복식 은메달, 단체전 동메달에 힘쓴 그는 최근에는 단식보다 복식에 중점을 두며 복식 전문 선수로 거듭나려 하고 있다.

아시안게임에서도 남자복식, 단체전에서도 복식을 소화한 가운데 2경기에서 모두 금메달을 목에 걸어 역시 에이스라는 찬사를 받았다.

김범준(25·문경시청)은 에이스들의 든든한 도우미다.

2012년 아시아선수권 남자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목에 건 그는 이번 대회 혼합복식에서 컨디션 난조에 시달린 김애경(NH농협은행)을 보듬으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자 복식에서는 김동훈과 함께 금메달을 목에 걸어 복식 전문 선수로서의 위상을 드높였다. 단체전에서 다시 시상대 맨 꼭대기에 오르며 남자 선수 가운데 가장 많은 3관왕을 차지했다.

김형준(24·이천시청)은 이번 대회 남자단식에서 금메달을 따낸 ‘신성’이다.

지난해부터 상승세를 보여 올해 처음으로 국가대표에 발탁됐다.

그는 앞으로 한국 정구 남자단식을 이끌 재목으로 평가받는다. 올해 8월 코리아컵 국제대회 단식 정상에 오른 그는 아시안게임에서 선배 김동훈을 준결승에서 잡고 금메달을 따고 단체전에서도 금메달을 수집하며 2관왕에 올랐다.

신복자 서울시의원, 장애동행치과 접근성 개선·영유아 건강관리 사업 통합 필요성 제기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복자 의원(국민의힘·동대문4)은 지난 13일 시민건강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일부 장애동행치과가 장애인 편의시설 미비, 진료 가능한 연령 기준이 달라 실제 이용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또한 영유아 가정 건강관리 사업의 대상과 목적이 유사한 만큼, 보다 효율적인 통합 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서울시가 올해 25개 전 자치구에 총 60개소의 장애동행치과를 확대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하여, “동행치과 확대는 환영할 말한 일이지만, 60개소가 지정되었다는 사실만으로 장애인들 모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보긴 어렵다”며, 자료 검토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신 의원은 “60개소 중 휠체어가 들어가기 어려운 진입로,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치과들이 적지 않다”고 언급하며, 이러한 편의시설 미비로 인해 ‘지정은 되어 있지만 실제 이용이 곤란한’ 치과가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했다. 아울러 일부 치과는 성인만 또는 아동만 진료하거나, 6대 장애유형 중 특정 장애는 진료가 불가한 점 등 진료 기준이 통일되지 않아 장애인이 본인의 상태에 맞는 치과를
thumbnail - 신복자 서울시의원, 장애동행치과 접근성 개선·영유아 건강관리 사업 통합 필요성 제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