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어린이 책] ‘살아있는 따뜻한 집’ 책만 보고 갈순 없죠

[이주의 어린이 책] ‘살아있는 따뜻한 집’ 책만 보고 갈순 없죠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12-01 17:24
수정 2017-12-02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서 빠뜨/즈느비에브 빠뜨 지음/최내경 옮김/재미마주/264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초등학교 때 살던 아파트 바로 앞엔 자그마한 도서관이 있었습니다. 사서 선생님 두 분은 언제나 아이들을 다정히 맞아주셨어요. 서가를 서성이며 어떤 책을 읽을까 고민할 때면, 곁에 와서 소소한 질문을 건네며 책을 고르는 손길에 힘을 보태주셨고요. 친구 집에 놀러 가려고 도서관 앞 횡단보도에 서 있다 우연히 마주치기라도 하면 군고구마를 사서 손에 쥐여주시던 기억도 납니다. 어른이 되어 돌이켜보면 그 살갑고 작은 유대가 어쩌면 책으로, 사람으로 향하는 길을 내어준 게 아닌가 싶습니다.

60년간 어린이 도서관의 사서로 살아온 저자 즈느비에브 빠뜨는 바로 그 ‘살갑고 작은 관계’의 힘을 평생 실천한 주인공입니다. 1965년 그가 파리에 세운 프랑스 최초의 어린이 도서관 ‘책을 통한 즐거움’은 처음 생길 때부터 국내외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습니다. 아이들의 상상력을 한껏 부풀리는 이 아름답고 기발한 공간은 도시 외곽 영세민들의 임대 아파트 안에 들어서 더 눈길을 끌었죠. 이곳을 거쳐 간 아이들은 책을 통해 경이로운 세상을 만나기도 했지만, 친구와 어른, 사서 선생님 등 타인과의 다양한 관계맺기를 통해 신뢰와 친밀함, 자유, 열정, 행복감 등 성장을 이끄는 삶의 가치들을 온몸으로 배웠죠. 빠뜨는 이 도서관이 ‘작은 동그라미 도서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문화재가 된 오늘날까지 도서관의 명예관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책에는 아이들에게 도서관을 ‘살아있는 따뜻한 집’으로 만들기 위해 분투한 저자의 체험과 통찰이 가득합니다. 그러니 밑줄 그을 대목이 빼곡할 밖에요. ‘도서관은 늘 상대방을 존중하고, 상대방이 지닌 자율성에 대한 욕구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장소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도서관은 함께 앞으로 나아가고 성장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손을 내밀어 격려하고 도움을 준다. 오늘날의 도서관은 그 어느 때보다 사람들의 말에 귀기울여야 한다’는 문장에서 도서관의 미래를 낙관해 봅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12-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