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미디어(SNS) 접속 차단과 부패에 격분한 네팔 시위대의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상에서 네팔 재무장관으로 추정되는 남성이 속옷만 입은 채 시위대에 끌려가는 영상이 퍼지고 있다. 엑스(X·옛 트위터)
소셜미디어(SNS) 접속 차단과 부패에 격분한 네팔 시위대의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상에서 네팔 재무장관으로 추정되는 남성이 속옷만 입은 채 시위대에 끌려가는 영상이 퍼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선 네팔 재무장관이 무력하게 거리에서 끌려가고 있다는 글과 함께 한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 속 남성은 속옷만 입은 채 팔과 다리가 들린 채 어딘가로 끌려가는 모습이 담겼다.
해당 게시물을 올린 누리꾼은 재무장관이 경제를 바로잡을 기회가 있었지만 귀를 닫았고, 청년들의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온라인상에선 네팔 재무장관이 길거리에서 시위대에 폭행당하는 영상과 속옷만 입은 채 강에서 시위대에 쫓기며 폭행당하는 영상 등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번 시위는 정부가 지난 5일 유튜브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엑스(X·옛 트위터) 등 26개 SNS의 접속을 차단한 데 반발해 시작됐다.
고위층 자녀들의 호화생활과 극빈층을 대조하는 영상이 SNS에 퍼지자 10~30대 ‘Z세대’가 격분했고 정부가 차단하자 시위로 번진 것이다.

불타는 카트만두 힐튼 호텔. 2025.9.10 AFP 연합뉴스
세계은행에 따르면 네팔 인구 3000만명 가운데 20% 이상이 빈곤층이며 2022~2023년 기준 15~24세 실업률은 22%를 넘었다.
지난 9일 네팔 시위대는 중부 간다키주 포카라에 있는 카스키 교도소를 습격했다. 일부 교도소 건물이 파괴되면서 수감자 900명이 탈옥했다.
네팔 서부 수두르파스침주에 있는 카일라리 교도소와 중부 바그마티주 랄리트푸르에 있는 교도소에서도 방화가 발생했다.
시위대는 같은 날 수도 카트만두의 람 찬드라 포우델 대통령 관저를 비롯해 국회의사당, 대법원, 검찰청 등의 청사도 습격해 불태웠다. 포우델 대통령은 헬기를 타고 군사훈련센터로 긴급 대피했다.

찬드라 푸델 네팔 대통령의 집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다. 2025.9.10 AP 연합뉴스
시위대가 전날 올리 총리 자택을 포함해 정치인 24명의 관저도 방화해 화상을 입은 잘라나트 카날 전 총리의 아내가 숨진 것으로 전해졌다.
네팔 군 당국은 올리 총리 사임에도 시위가 잦아들지 않자 카트만두 등 주요 도시에 병력을 배치했다.
이웃 나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폭력은 가슴 아픈 일”이라며 시위대에 자제를 촉구했다.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시위대 중 22명이 숨지고 500명 넘게 부상을 당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