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신용금고 ‘멋대로 변동금리’ 제동

금감원, 신용금고 ‘멋대로 변동금리’ 제동

입력 2010-06-18 00:00
수정 2010-06-1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출이자 폭리… “분기마다 금리 조정” 의견 전달

금융감독원이 상호금융기관의 대출이자 폭리에 대해 제동을 걸고 나섰다.

금감원은 최근 신협과 농협, 수협,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기관 중앙회에 3개월에 한 번씩은 기준금리의 변동에 맞춰 대출금리를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17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상호금융기관 대출업무의 기본원칙을 제시하는 현행 여신거래기본약관에는 ‘조합이 금리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고만 규정돼 있을 뿐 금리변동 주기에 대한 조항이 없다. 상호금융기관들이 그동안 객관적인 원칙 없이 자신들이 필요한 경우에만 금리를 조정했고 이에 따른 대출자들의 피해가 적지 않았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상호금융기관들이 금리가 오를 때에는 재빨리 대출금리를 인상하지만 금리가 내려갈 때에는 대출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있어 대출자들이 더 높은 이자 부담을 져야 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호금융기관들은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다른 금융기관과 달리 높은 대출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농협과 신협, 수협, 산림조합 등 483개 지역조합 가운데 23%인 111개 조합이 2007년 1월부터 올 3월까지 단 한 차례도 대출금리를 조정하지 않았다.

금리를 내린 경우에도 인하폭이 은행의 절반에 불과했다. 상호금융기관의 평균 대출금리는 2007년 말 연 7.52%에서 올해 3월 말 7.11%로 0.41%포인트 하락했지만 같은 기간 은행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연 6.82%에서 5.91%로 0.91%포인트 떨어졌다. 금감원은 상호금융기관이 은행 대출금리 하락폭만큼 대출금리를 추가로 인하한다면 연간 6409억원의 금리 경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현재 상호금융기관의 변동금리 대출은 127조 1000억원으로 전체 대출 규모의 79%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소한 분기에 한 번 정도는 기준금리 변동에 맞춰 대출금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0-06-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