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이사·임원 14%가 ‘낙하산’

금융지주 이사·임원 14%가 ‘낙하산’

입력 2010-11-20 00:00
수정 2010-11-20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B·우리·신한·하나 등 4대 계열사 현황 분석

국내 4대 금융지주사(계열사 포함)에 현재 재직 중인 ‘낙하산 인사’가 가장 많은 곳은 우리금융그룹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와 집행임원의 20.8%가 정부 및 감독당국자 출신으로 채워졌다. 하지만 참여정부 말기(30.5%·2007년 12월) 때보다는 다소 줄었다.

19일 전자공시와 민주당 우제창 의원 등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사와 계열사에 임원 또는 이사로 근무하고 있는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 등 정부부처 공무원과 금융감독원 출신은 45명으로 전체(322명)의 14.0%였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21명(전체 6.5%)이 금융위·금감원 출신이다.

●우리금융 20.8%로 가장 많아

금융그룹별로 민영화가 진행 중인 우리금융에 정부·당국자 출신이 가장 많았다. 이사와 집행임원 77명 가운데 16명이 정부 및 감독당국 출신이었다. 참여정부 말기(59명 중 18명)에 견줘 소폭 감소했다.

외환은행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하나금융도 14.5%가 공무원 및 금감원 출신이다.

금융지주사 전환이 가장 늦었던 KB금융은 11.2%, 재일교포의 종잣돈으로 설립된 신한금융은 10.4%가 과거 ‘상부기관’ 출신이었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신한금융의 경우 참여정부(6.3%) 때보다 정부·당국자 출신이 다소 늘었다.

금감원·금융위 출신들은 4대 금융그룹의 주요 계열사 감사직을 독차지했다. 신한은행과 신한카드, 신한금융투자, 신한생명에 모두 이들로 채워졌다. KB투자증권, KB자산운용, KB신용정보 등도 금융감독 당국 출신들이 싹쓸이했다.

●금감원·금융위 ‘경력세탁’ 취업도

공직자윤리법에 따르면 현재 금융위(4급 이상)와 금감원(2급 이상) 퇴직자는 2년간 업무와 관련된 금융회사에 취업할 수 없다.

하지만 금감원의 일부 직원들은 퇴직 전 본인 업무와 관련 없는 교육업무를 맡는 방식의 ‘경력 세탁’을 통해 금융기관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

2006년부터 올 8월까지 퇴직한 금감원 2급 이상 간부 88명 가운데 84명이 금융기관에 자리를 마련했다. 금감원 측은 올 초부터 이런 편법을 없애기 위해 교육업무를 각 해당국에 이관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 공직자를 영입하는 이유는 공직 세계에 넓게 퍼져 있는 인맥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부 관계자는 “전문가를 활용한다는 의미에서 꼭 낙하산이라고 볼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김경두·이경주기자 golders@seoul.co.kr
2010-11-2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