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저축은행 인수 참 좋은데…‘문제는 가격’

증권사 저축은행 인수 참 좋은데…‘문제는 가격’

입력 2011-10-21 00:00
수정 2011-10-21 1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수 후 부실 빨리 턴다면 분명히 주가에 긍정”

증권사의 저축은행 인수는 주가의 호재이지만, 거래 가격에 따라 영향은 큰 차이를 보일 전망이다.

2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키움증권과 한국투자증권(한국금융지주), 현대증권이 저축은행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전날 ‘대영+에이스’ 저축은행 패키지에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고 아주캐피탈, 러시앤캐시와 경쟁을 벌이게 됐다.

한국투자증권은 아직 고민 중이고 현대증권은 대영저축은행에 관심이 있지만, 이번 인수전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그 대신 대영저축은행의 경영 정상화를 통한 인수합병(M&A)을 검토 중이다.

전날 제일저축은행에는 우리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가 도전장을 던졌다. 이 저축은행은 본점이 서울에 있고 규모가 커 대형 금융지주들의 표적 1순위였다.

토마토저축은행과 ‘프라임+파랑새'패키지의 LOI 접수는 이날 마감돼 증권사를 비롯해 어떤 금융회사가 추가로 도전장을 던질지 주목된다.

증권사들은 예금, 적금 등 수신 기능을 확보함으로써 수익 다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이유로 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대형 투자은행(IB) 업무를 수행하려는 증권사는 기존의 브릿지론 수준을 넘어 직접 대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저축은행이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도 IB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증권사의 저축은행 인수 성공 여부는 인수가격에 달렸다.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들은 부실사태로 영업정지된 곳이어서 최대한 싼 가격에 인수해 부실을 서둘러 정리해야 주가에 호재가 된다.

HMC투자증권 박윤영 연구원은 “저축은행을 얼마에 인수하느냐가 무척 중요하다. 인수 후에는 부실을 빨리 털어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또 다른 부실이 나오지 않는다면 분명히 주가에는 플러스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평가를 반영한 듯 증권사 중 가장 먼저 인수전에 뛰어든 키움증권은 이날 주가가 급등했다. 오전 10시25분 현재 전날보다 7.30% 상승한 5만8천800원에 거래 중이다. 현대증권은 0.11% 올랐다.

금융지주사들은 고배당 압박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동반 하락했다.

우리금융이 1.68%, KB금융이 1.73%, 하나금융지주가 0.84% 각각 떨어졌다. 한국금융지주도 3.00% 내렸다.

예금보험공사는 다음 달 중순 중으로 입찰을 시행하고 12월 중순 계약이전 및 영업재개를 목표로 저축은행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