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오일 약진… 정유업계 판도 바뀌나

S-오일 약진… 정유업계 판도 바뀌나

입력 2011-11-19 00:00
수정 2011-11-19 00: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정유업계에서 S-오일의 신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최근 경기 침체에 따라 폐업하는 주유소가 늘고 있음에도 S-오일 폴을 내건 주유소는 유일하게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정유업계의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18일 정유업계와 한국주유소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전국 주유소 수는 1만 2906개. 지난 1월 말 1만 2988개에서 82개가 줄었다. 이는 최근 국내외 경기 침체에 따라 문을 닫는 주유소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폴 사인별로는 업계 1위인 SK이노베이션 주유소의 폐업 숫자가 가장 많았다. 1월 말 4554개(35.1%)에서 9월 말 4452개(34.5%)로 102개나 줄었다. 2위인 GS칼텍스 주유소 역시 같은 기간 3446개(26.5%)에서 3381개(26.2%)로 65개 감소했다. 현대오일뱅크 주유소는 2430개(18.7%)에서 2408개(18.6%)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4위인 S-오일 주유소는 1912개(14.7%)에서 1934개(15.0%)로 22개 증가했다. 농협, 무폴 등 기타 주유소가 646개(5.0%)에서 731개(5.7%)로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정유 4사 중 유일하게 주유소가 늘었다. 주유소 숫자가 전체 판매량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상당히 의미 있는 변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S-오일 관계자는 “올 들어 신규 주유소를 조기에 발굴해 유치한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브랜드 이미지 역시 개선되면서 주유소 사업자들이 S-오일 간판을 달겠다고 먼저 찾아오는 경우도 상당하다.”고 귀띔했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 35%, GS칼텍스 27%, 현대오일뱅크 20%, S-오일 17% 등의 순으로 공고화된 국내 정유업계 순위에도 조만간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S-오일 등 지난 15일 1차 입찰에 참여한 정유사들이 겉으로는 정부의 의지에 떠밀려 알뜰주유소 사업에 나선 것처럼 보이지만 1% 포인트도 쉽게 늘리기 어려운 시장점유율의 대폭 상승이라는 효과를 계산하고 있을 것”이라면서 “향후 추가 입찰 결과에 따라 국내 정유업계의 판도가 상당히 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11-1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