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임업이 국내 처음으로 조림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했다.
SK임업은 강원 고성군 황폐지 75㏊에서 시행하는 ‘탄소배출권 조림사업’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으로부터 최종 인가를 받았다고 7일 밝혔다. 조림사업으로 탄소배출권을 확보한 사례는 아시아에서 13번째, 세계적으로는 45번째다. 고성 조림사업지역에는 현재 낙엽송, 자작나무, 잣나무 등 총 25만 그루가 성장하고 있다.
SK임업 측은 이번 조림사업으로 연간 621t의 이산화탄소(자동차 259대의 배출 규모)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경우 향후 20년간 1만 2400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격적인 탄소배출권 거래는 정밀한 이산화탄소 감소량 산출을 위한 유엔의 실사가 마무리되는 5년 뒤에 이뤄질 것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탄소배출권은 t당 5달러 안팎으로 금전적 수익은 그리 크지 않지만 당장의 경제적 가치보다 조림사업을 통해 산림 복구는 물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SK임업은 향후 충북 충주·영동, 충남 천안 등지의 다른 조림사업에 대해서도 탄소배출권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SK임업은 강원 고성군 황폐지 75㏊에서 시행하는 ‘탄소배출권 조림사업’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으로부터 최종 인가를 받았다고 7일 밝혔다. 조림사업으로 탄소배출권을 확보한 사례는 아시아에서 13번째, 세계적으로는 45번째다. 고성 조림사업지역에는 현재 낙엽송, 자작나무, 잣나무 등 총 25만 그루가 성장하고 있다.
SK임업 측은 이번 조림사업으로 연간 621t의 이산화탄소(자동차 259대의 배출 규모)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경우 향후 20년간 1만 2400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격적인 탄소배출권 거래는 정밀한 이산화탄소 감소량 산출을 위한 유엔의 실사가 마무리되는 5년 뒤에 이뤄질 것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회사 관계자는 “탄소배출권은 t당 5달러 안팎으로 금전적 수익은 그리 크지 않지만 당장의 경제적 가치보다 조림사업을 통해 산림 복구는 물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SK임업은 향후 충북 충주·영동, 충남 천안 등지의 다른 조림사업에 대해서도 탄소배출권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5-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