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얼마나 받을까…사례로 보는 기초연금

누가 얼마나 받을까…사례로 보는 기초연금

입력 2014-06-29 00:00
수정 2014-06-29 1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월부터 도입되는 기초연금은 기본적으로 기존 기초노령연금과 마찬가지로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되며, 연금 액수는 기초노령연금 대비 2배 이상 늘어난다.

그러나 소득인정 기준 등이 바뀌면서 기초노령연금 때와는 대상자에 일부 변동이 생기고, 대상자 내에서도 국민연금 가입기간 등에 따라 수급액에 차이가 있다.

기초연금이 어떤 노인에게, 얼마나 지급될지를 다양한 가상의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는 김 할아버지

서울시 용산구에 홀로 사는 김모 할아버지는 1남2녀의 자녀를 키워 결혼까지 시키느라 노후 대비를 하지 못했다. 남은 재산이 전혀 없이 아파트 경비일을 하면서 월급 137만원을 받아 빠듯하게 생활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근로소득 137만원에 근로공제 48만원을 제외한 소득인정액이 89만원으로, 선정기준액 87만원을 초과해 기초노령연금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기초연금이 도입되면 김 할아버지와 같은 근로소득자에게는 30%의 근로소득공제를 추가로 해주기 때문에 소득인정액이 89만원의 70%인 62만3천원으로 낮아져 기초연금 최대액인 20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 아들 명의 고급주택에 사는 최 할머니

서울시 강남구에 사는 최모 할머니는 2010년 30억원 상당의 주택을 아들에게 명의만 이전한 후 그 집에서 계속 살고 있다. 자녀의 소득이나 재산은 소득인정액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 할머니는 소득인정액 0원으로 그동안 기초노령연금을 받아왔다.

그러나 기초연금이 도입되면 자녀 명의 6억원 이상 주택에 살 경우 무료임차소득이 발생한다. 최 할머니의 경우 주택가액 30억원에 0.78%를 곱하고 이를 12개월로 나눈 195만원이 무료임차소득으로 인정되며, 선정기준액 87만원을 초과하기 때문에 기초연금 대상에서 탈락된다.

◇ 국민연금 13년 가입한 정 할아버지

경기도 수원에 사는 정모 할아버지는 민간기업에 근무하면서 1996년부터 2008년까지 13년간 국민연금에 가입했다. 이 기간 평균소득은 200만원이었으며, 현재 40만원의 국민연금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월 소득인정액이 66만원에 불과해 10만원 가량의 기초노령연금을 받아왔다.

기초연금이 도입돼도 정 할아버지의 수급자격을 유지되지만 최대액인 20만원을 다 받지는 못한다. 국민연금 급여액 중 가입기간과 가입시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 소득재분배 급여(A급여)에 비례해 기초연금액이 감액되기 때문이다. 정 할아버지의 A급여는 21만원으로 여기에 2/3을 곱한 14만원을 20만원에서 빼고, 여기에 기본 10만원을 더한 16만원이 정 할아버지가 받게될 기초연금이다.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박 할아버지 부부

대전시 유성구에 사는 박모 할아버지 부부는 근로소득과 기초노령연금을 포함한 부부 합산 소득인정액이 100만원에 불과하다. 2인 가구 최저생계비 103만원에는 못 미치고 현금급여 기준인 83만원은 넘기 때문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지정돼 의료급여 혜택만 받고 있다.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선정기준액(부부 기준 139만원)에 한참 못 미치는 박 할아버지 부부는 당연히 기초연금 수급자가 된다. 그러나 기초연금을 포함하면 소득인정액이 116만원 가량으로 늘어나면서 최저생계비 기준을 초과해 기초생활보장 수급 자격은 박탈된다. 다만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150% 이하인 경우는 2년간 한시적으로 의료급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2016년 7월까지는 수혜가 가능하다.

최호정 서울시회 의장,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지방의회 컨퍼런스 개최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최호정 회장(서울시의회 의장)은 지난 19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지방의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는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지방시대위원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부, 울산시 공동 주최로 열린다.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을 주제로 한 26개 정책 컨퍼런스와 기관별 우수사례를 알리는 전시회가 운영된다. 이날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가 개최한 지방의회 컨퍼런스는 ‘민선지방자치 30주년, 지방의회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지방의회법 제정에 관한 사항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는 민선 지방자치가 30주년을 맞는 특별한 해로, 30년간 지방의회는 주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지방정부의 민주적 운영을 이끌어내며 지역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정책으로 구현해왔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그러나 지방의회가 해결해야 할 구조적인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법 제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는 국회 및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방의회법 제정을 위해 앞장서겠다. 내년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회 의장,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지방의회 컨퍼런스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