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총소득 中 가계비중 40년새 79%→62%

국민총소득 中 가계비중 40년새 79%→62%

입력 2014-12-15 00:00
수정 2014-12-15 1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비중은 9%→26%로 껑충 상승 483억원이었던 韓 국민총소득…60년만에 3만배로 증가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GNI) 규모가 60년 만에 3만배로 증가하고, 1인당 GNI는 400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총소득에서 가계의 비중은 1975년 79%에서 작년에는 61%로 줄었는데 비해 기업의 비중은 9%에서 26%로 뛰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민계정 개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NI는 1953년 483억원에서 작년 1천441조원으로, 60년 새 2만9천833배로 불었다.

1인당 GNI는 60년 만에 67달러에서 394배로 늘어난 2만6천205달러가 됐다. 연평균 10.5%씩 증가한 것이다.

국민계정이란 기업·가계·정부 등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모든 주체의 경제 활동과 일정 시점에서 경제 전체의 자산·부채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정한 회계기준이다. 이 기준은 1953년부터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바뀌었다.

한은의 이번 국민계정 개편에 따라 처음으로 같은 기준(2008 SNA)을 이용해 경제 통계가 처음 나온 1953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 경제 흐름을 짚어볼 수 있게 됐다.

GNI 기준으로 한국 경제의 ‘덩치’를 구성하는 요소를 살펴보면, 가계소득 비중은 꾸준히 떨어진 반면, 기업소득 비중은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급속히 높아졌다.

1975년 가계부문은 GNI의 79.2%를 차지했으나 지난해 61.2%로 쪼그라들었다. 같은 기간에 기업들이 산출한 부가가치로 따진 기업부문 비중은 9.3%에서 25.7%로 불어났다.

정부부문 비중은 9.3%에서 13.1%로 소폭 확대됐다.

현재 수출(총액기준)은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지만 60년 전만 해도 GNI대비 3%에도 미달했다.

1953년 GNI 대비 2.9%였던 수출 총량 비중은 1966년 처음으로 10%대를 넘어섰다. 수출 비중이 10%를 돌파한지 8년 만인 1973년(25.6%)에 20%대를, 7년 만인 1980년(32.1%)에는 30%대를 넘어섰다.

이후 1998년 42.0%, 2008년 52.2% 등 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수출 비중은 크게 높아졌다. 2012년 이 비중은 58.3%까지 높아졌고, 작년엔 55.9%였다.

산업구조에서는 1953년 국내총생산(GDP)의 48.2%를 차지하던 농림어업 비중이 지난해 2.3%까지 줄었다.

제조업 비중은 7.8%에서 4배로 커진 31.1%가 됐다. 서비스업 비중도 40.3%에서 59.1%로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0.4%→2.3%), 건설업(2.2%→5.0%) 비중도 늘었다.

총저축률은 1953년 10.9%에서 꾸준히 늘어 1988년 41.7%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낮아지기 시작해 지난해 34.4%를 기록했다.

총투자율 또한 1991년(41.4%) 정점 이후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세 둔화 등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총투자율은 28.8%였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4%를 정점으로 빠르게 하락해 작년 수치(4.5%)가 1953년 당시(4.6%)와 비슷해졌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1953년 27.3%에서 1996년 62.4%까지 높아졌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최근 4년 연속 상승, 지난해 61.4%가 됐다.

이는 근로자들의 임금이 높아졌다기보다는 가계와 기업의 영업이익이 낮아져 나타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