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매출 5년 만에 감소…삼성전자 실적 부진탓

상장사 매출 5년 만에 감소…삼성전자 실적 부진탓

입력 2015-04-01 13:21
수정 2015-04-01 15: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상장사 순이익 7% 감소…삼성전자 제외하면 7% 증가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매출이 5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의 실적이 악화된 영향이 컸다.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상장사들의 매출액과 순이익은 증가했다.

1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가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496곳의 2014회계연도 연결재무제표 기준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1천821조원으로 전년보다 0.43% 감소했다.

매출액이 전년보다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5년 만이다.

영업이익은 91조4천억원으로 12.69% 급감했다. 순이익은 61조1천억원으로 6.96% 줄었다.

수익성도 악화됐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02%로 전년보다 0.70%포인트 떨어졌고 순이익률도 3.36%로 0.24%포인트 하락했다.

삼성전자를 제외할 경우 상장사들의 매출액은 1천615조원으로 전년보다 0.9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25%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7.10% 증가했다.

전체 연결 기준 매출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12.61%에서 11.32%로 축소됐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비중은 36.42%에서 27.37%로 줄었다. 순이익 비중은 전년 49.36%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38.26%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액은 206조원으로 전년보다 9.83%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보다 각각 31.97%, 23.23% 급감했다.

연결기준으로 상장사들의 전체 자산은 2천145조원이고, 부채는 1천204조원 규모였다. 부채비율은 127.93%로 2013년 말보다 2.62% 하락했다.

분석대상 기업 496곳 중 364곳(73.39%)이 당기순이익 흑자, 132곳(26.61%)이 적자를 냈다. 적자기업은 전년 28.74%와 비교하면 감소했으나 여전히 전체 기업의 4분의 1 이상이었다.

적자 지속 기업이 84곳(16.94%), 적자 전환은 48곳(9.68%)이었다. 흑자 전환 기업은 55곳(11.09%)이었다.

개별(별도) 기준으로 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618곳의 매출액은 1.65% 줄었다. 영업이익은 11.62%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4.99% 증가했다.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당기순이익이 23.47% 급증하고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각각 0.19%, 1.12% 늘었다.

거래소와 코스닥협회가 집계한 코스닥시장 12월 결산법인의 실적을 보면 연결재무제표를 낸 코스닥 상장사 671곳의 작년 매출액은 122조7천억원으로 전년보다 1.24% 늘었다.

영업이익은 6조원으로 4.31% 줄었지만 순이익은 3조4천억원으로 7.57% 늘었다.

분석대상기업 중 437곳(65.13%)이 흑자였고 234곳(34.87%)은 적자를 기록했다.

개별·별도 재무제표를 제출한 940곳의 작년 매출액은 전년보다 1.0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6.32% 줄었다.

반면에 순이익은 전년 2조9천억원에서 지난해 3조6천억원으로 21.60% 급증했다.

코넥스시장 기업 62곳은 개별·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이 1조5천억원으로 2013년보다 4.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60억원으로 14.1%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370억원으로 67.8% 증가했다.

62개사 가운데 47곳이 흑자, 15곳이 적자였다.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서울시의회 이종배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제333회 정례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설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길어지고 있다”며 “서울시가 조기 착공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올해 7월 투자심사에서 주민편익시설 보완 요청이 있었던 것은 이해하지만, 설계 변경 작업이 과도하게 지연돼서는 안 된다”면서 “기본설계가 이미 상당 부분 마무리된 만큼, 수정 설계에 박차를 가해 상반기 착공이 가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화본부장은 “투자심사에서 주민시설 보완과 복합화 요구가 제기돼 이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설계 변경이 필요했다”며 “배관·배선 등 세부적인 구조까지 재조정해야 하는 만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답변을 들은 이종배 의원은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는 물리적 제약으로 상반기 착공이 어렵다고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가 큰 만큼 최대한 빠르게 착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또한 이 의원은 “동대문 시립도서관은 당초 공연·전시 등 문화복합 기능 중심이었으나, 투자심사 의견 반영으로 주민 교육·편익시설이 추가되며 기능이 확장된 것
thumbnail - 이종배 서울시의원 “동대문구 시립도서관, 조기 착공해 문화복합 랜드마크로 완성해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