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에서 하루 1만개씩 새로운 기업이 탄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北京)지부는 18일 ‘중국 경제의 새로운 모멘텀, 창업대국’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취업난 해소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중창업(大衆創業), 만중창신(萬衆創新)’을 새로운 국정지표로 내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창업에 유리한 생태계 조성으로 기업 수를 늘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으면서 새 기술, 새 제품, 새 시장을 적극 창출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해 자영업자와 협동조합을 제외한 일반기업 창업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창업 일반기업 수는 2011년 200만개에서 2013년 250만개로 늘더니 지난해에는 그 수가 365만개로 폭증했다. 중국의 창업 열풍은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 귀국 유학생 창업, 외국기업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귀국 유학생 창업단지 수가 2006년 말 110개에서 2013년 말에는 280개로 2.5배 이상 증가하면서 입주 기업 수가 1만 6000개에 이르렀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한국무역협회 베이징(北京)지부는 18일 ‘중국 경제의 새로운 모멘텀, 창업대국’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취업난 해소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대중창업(大衆創業), 만중창신(萬衆創新)’을 새로운 국정지표로 내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창업에 유리한 생태계 조성으로 기업 수를 늘려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으면서 새 기술, 새 제품, 새 시장을 적극 창출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해 자영업자와 협동조합을 제외한 일반기업 창업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창업 일반기업 수는 2011년 200만개에서 2013년 250만개로 늘더니 지난해에는 그 수가 365만개로 폭증했다. 중국의 창업 열풍은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 귀국 유학생 창업, 외국기업의 지속적인 투자 확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귀국 유학생 창업단지 수가 2006년 말 110개에서 2013년 말에는 280개로 2.5배 이상 증가하면서 입주 기업 수가 1만 6000개에 이르렀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5-1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