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이견… 장기화 조짐
금호타이어 노동조합(전국금속노동조합 금호타이어지회)이 임금피크제 도입 등과 관련해 사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전면 파업을 선언했다. 금호타이어 노조의 전면 파업은 2012년 8월 이후 3년 만이다.
광주 연합뉴스
금호타이어 노동조합이 전면 파업에 돌입한 17일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한 노조원이 대체 인력이 투입돼 일부 가동 중인 공장을 떠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광주 연합뉴스
노조는 이날 광주공장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 3584억원을 벌어들인 만큼 이에 대한 성과금을 요구했으나 사측은 임금피크제와의 연동을 주장하며 노조의 요구를 거절했다”고 말했다. 노조는 특히 “일방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밀어붙이며 노사 관계를 파국으로 만들어 가는 저의가 무엇이냐”면서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채권단 간 지분에 대한 가격 협상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박 회장이 파업을 유도해 주식가격을 낮추려 하는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사측은 이날 입장 자료를 내고 “회사는 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고 국내외 거래처의 제품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해 재고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대체인력을 투입하는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면서 “노조는 조건 없는 일시금만을 요구하며 회사의 제시안을 일방적으로 거부하고 전면 파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맞섰다. 이날 사측이 밝힌 최종안은 임금(일당) 1900원 인상, 임금피크제 도입을 전제로 일시금 300만원 지급 및 정년 만 61세 연장 등이다.
그룹 경영 정상화 작업을 진행 중인 박 회장은 금호타이어 노사의 갈등으로 또 다른 암초를 만나게 됐다. 박 회장은 현재 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금호산업 인수를 두고 채권단과 가격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박 회장이 그룹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는 향후 금호타이어의 지분 인수도 필요하지만 이마저도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08-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