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구 등 4개 센터장 좌담회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첨병인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센터)가 지난 7월까지 전국 17개 지역에 문을 열고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지난해 7월 대구센터가 삼성그룹과 손을 맞잡은 것을 시작으로 전국 17개 센터가 대기업과 1대1 협약을 맺고 지역 내 창업기업을 육성하면서 일부에선 이미 가시적인 성과도 나오고 있다.서울신문이 14일 서울 중구 서울센터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성공포인트를 주제로 개최한 좌담회에서 센터장들은 그동안의 성과와 경험을 공유하고 과제와 대안을 제시했다. 김선일 (삼성)대구센터장, 유기호 (현대차)광주센터장, 한종호 (네이버)강원센터장, 박용호 (CJ)서울센터장, 남정민 단국대 지식재산벤처경영학과 교수 등 5인이 좌담회에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참석자들은 센터가 당초 목표대로 궤도에 오르고 있다면서도 지역을 초월한 협력 시스템 구축, ‘좀비 벤처’ 방지를 위한 창업시스템 점검 등 과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유기호 센터장은 “17개 센터가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데 센터 간 교류를 통해 지리적인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면서 “정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남정민 교수는 “창업 지원 기관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여러 기관을 옮겨다니며 중복 지원을 받는 ‘좀비 벤처’를 걸러낼 수 있는 시스템도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창업자들에 대한 조언도 쏟아졌다. 김선일 센터장은 “‘1인 창업 가게’는 가능해도 ‘1인 창업 기업’은 어렵다”면서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회사도 자기 혼자 다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팀워크를 통한 창업을 시도한다면 더 많은 기회가 보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0-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