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연세대 국제콘퍼런스 개회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금리 인상과 중국 성장둔화라는 이른바 ‘주요 2개국(G2) 리스크’를 글로벌 경제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지목하고 신흥국의 가계·기업 부채 등 민간부문 부채의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이 총재는 23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은행-연세대 국제콘퍼런스에 참석, 개회사를 통해 “G2 리스크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현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으며 글로벌 성장 경로에 관한 불확실성도 커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 인상을 계기로 신흥국으로 흘러갔던 자금이 환류돼 신흥국이 통화 절하, 주가하락 등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하고 실물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금융·실물 불안으로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동반 성장해온 신흥국들의 금융안정이 저해되고 성장모멘텀이 약화될 우려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두 경제 대국이 각각 통화정책과 성장모델을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가피한 현상이고 신흥국들의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 능력이 제고돼왔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그러나 경제 기초여건(펀더멘털)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의 경우 G2 리스크의 영향이 자체 취약성과 결합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자본유출 및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그동안 고평가됐던 통화 및 자산가치가 떨어지면서 금융불안 및 경제부진이 심화될 우려가 큰 상태라는 것이다.
이 총재는 “신흥국들이 앞으로 금융안정을 강화하는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면서 특히 “민간부채의 증가속도를 완화하고 부채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시장금리가 오르면 그동안 누적된 가계부채의 상환부담이 늘어 금융부문의 건전성이 훼손되고 경기 회복도 제약될 수 있으므로 정책 당국이 가계부채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기업부문에 대해서도 국내외 부채의 취약성을 점검하고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 총재는 해외 충격에 대비해 금융부문 및 거시경제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정책당국 간, 국가 간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의 성장둔화는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구조적 변화이므로 각국은 이에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