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1조 2171억 적자… 감축안 등 전달
대우조선발 구조조정이 속도전에 들어갔다. 채권단은 29일 대우조선해양 지원 방안을 발표한다. 대신 고강도 자구 노력을 계속 옥죌 태세다. 정부는 은행들을 향해 “옥석을 가려 달라”고 채근하며 다른 부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도 서두르고 있다.대우조선의 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29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대우조선 정상화 지원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1조~2조원의 유상증자와 2조~3조원의 신규 대출 후 출자전환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이날 자산 매각, 대규모 인력 감축 등 강력한 자구안과 함께 노조 측 동의서를 산은에 전달했다. 채권단과 정부가 지원책 전제 조건으로 이를 내걸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이 이날 발표한 3분기 실적에 따르면 전 분기 3조원대 손실에 이어 이번에도 1조 2171억원의 적자를 냈다. 해외 자회사 손실 등을 반영한 결과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 손실 규모는 4조 3003억원이다. 당초 산은은 이날 곧바로 이사회를 열려 했으나 이사진 8명 가운데 5명이 사외이사라 소집이 늦춰졌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투자·수출 애로 해소 주요 기업 최고재무책임자(CFO) 간담회’ 뒤 기자들과 만나 “회생 가능성을 전제로 재무 구조 개선, 과잉 공급 문제를 염두에 두고 (조선업) 구조조정을 해 산업이 정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같은 날 시중은행장 10명과 함께한 조찬 간담회에서 “구조조정 추진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정확한 옥석 가리기’”라며 “이를 통해 회생 가능성이 없는 한계기업을 신속하게 정리함으로써 자원이 생산적인 부문으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살 수 있는 기업은 적극 지원해 막연한 불안감으로 억울하게 희생되는 기업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다음달부터 유암코의 기초재원 4조원을 토대로 본격적인 기업 구조조정에 나설 방침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10-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