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에 올 3670억 리얄 최악 재정 적자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국제 유가 폭락과 반군과 내전을 벌이는 예멘 정부에 대한 지원 등으로 심각한 재정 적자에 직면한 사우디 정부가 내년 예산 지출을 대폭 삭감하고 휘발유 가격과 공공요금을 인상하는 등 고강도 긴축안을 내놓은 것이다.사우디 정부는 내년 지출 규모를 8400억 리얄(약 261조 7860억원)로 올해 예상치인 9750억 리얄보다 14% 낮춰 잡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 블룸버그통신 등이 29일 보도했다. 올해 3670억 리얄의 재정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내년에도 재정적자가 3262억 리얄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수치는 83년 만의 최대치로 국내총생산(GDP)의 15%에 해당하는 규모다.
사우디 정부는 이와 함께 연료 보조금을 크게 줄이고 국내 휘발유 가격을 최고 67%까지 인상했다. 휘발유 가격은 정부의 연료 보조금 덕분에 베네수엘라, 리비아에 이어 세계 최저 수준이다. 이에 따라 고급 무연 휘발유는 ℓ당 16센트에서 24센트로 50% 오르고, 보통 휘발유는 12센트에서 20센트로 67% 급등했다. 수도 및 전기요금 등의 공공요금도 올리기로 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해 말부터 사우디 정부에 재정 적자에 대비한 보조금 삭감, 세금 개편 등을 권고해 왔으나 이를 따르지 않았다.
하지만 국제 유가가 지난해 상반기보다 60% 이상 급락하면서 재정이 바닥나자 결국 고강도 긴축안 카드를 꺼내 들었다. 사우디는 재정 수입의 80%, GDP의 45%, 수출의 90%를 석유가 차지하는 경제구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우디는 올해 재정 적자와 경상수지 적자(231억 달러·약 27조원)가 동시에 발생하는 쌍둥이 적자를 겪게 됐다. 사우디의 경상수지 적자는 1998년 이후 17년 만에 처음이다.
그런데도 사우디는 시장 점유율 유지를 위해 산유량 동결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IMF에 따르면 사우디가 균형재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제 유가가 106달러를 유지해야만 한다.
사우디 투자은행 자드와인베스트먼트의 파하드 알투르키 수석연구원은 “이번 사우디 정부의 긴축안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세부적이고 강력하다”면서 “하지만 이번 긴축안은 훨씬 이전에 행해졌어야 했다”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12-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