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시가총액 2천조원 시대 열렸다…166조 증가

아파트 시가총액 2천조원 시대 열렸다…166조 증가

입력 2015-12-31 09:39
수정 2015-12-31 09: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세난에 의한 가격 상승 등 영향…작년보다 증가폭 커져강남3구 아파트 시가총액 262조원…전국 아파트의 12.3% 달해

전국의 아파트 시가총액이 올해 처음으로 2천조원을 돌파했다.

올 한해 주택시장 호황으로 작년 말 대비 시가총액이 166조원 늘어난 결과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2월 말 현재 전국의 시세 조사대상 아파트 683만1천680가구의 시가총액은 약 2천126조9천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 2천조원을 넘어섰다.

작년 말 기준 1천961조원이던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은 올해 전세난에 따른 거래량 증가와 가격 상승, 새 아파트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166조원이 증가했다.

이는 작년 한해 시가총액이 121조3천억원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증가폭이 커진 것이다.

수도권의 아파트는 1천446조6천억원으로 지난해 말(1천340조9천억원)에 비해 105조7천억원가량 증가했다.

서울이 715조7천억원 선으로 작년 말 대비 49조3천억원 늘어난 가운데 강남구가 108조6천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9조9천억원이 증가하며 100조원대에 돌입했다.

서초구는 77조6천억원, 송파구는 76조4천억원을 기록하는 등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이들 ‘강남 3구’의 시가총액(262조6천억원)만 서울시 전체의 36.7%, 전국 시가총액의 12.3%를 차지했다.

지방의 아파트는 680조2천억원으로 작년 말(620조1천억원)에 비해 60조1천억원 증가했다.

집값이 강세를 보인 대구광역시가 작년 99조7천억원에서 올해 약 118조원으로 올라 100조원을 넘었고 부산은 작년 말 131조원에서 올해 146조2천억원으로 15조2천억원 가량 늘었다.

올해 제2공항 건설 등의 호재로 뜨겁게 달아올랐던 제주도의 아파트 시가총액은 5조1천800억원으로 작년 말 4조8천100억원에 비해 3천700억원 증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