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열차의 힘

관광열차의 힘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6-03-08 23:22
수정 2016-03-09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적자 노선에 3년간 160만명 몰려 200억 수입… 1456억 생산 유발

태백 등 폐선 직전의 적자 노선과 인적이 끊긴 간이역을 활용한 코레일 관광열차가 3년 만에 이용객 160만명에 누적 수입액 200억원을 돌파했다.

8일 코레일에 따르면 2013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5대 철도관광벨트의 관광열차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터진 지난해에도 이용객 69만 2772명, 수입액은 93억 5339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8.6%, 38.9%가 증가한 수치다.

코레일은 적자 노선의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해 낙후된 철도 노선 주변의 지역 관광자원과 문화를 결합한 전국 5대 철도관광벨트를 조성했다. 개방형 전망창과 온돌마루실, 족욕카페 등 열차를 특화하고 차내 이벤트도 준비했다.

차별화한 서비스가 인기를 끌면서 관광열차 이용객은 2013년 35만 6164명, 2014년 53만 8651명으로 해마다 크게 늘었다. 수익도 시행 첫해 48억원에서 이듬해에는 67억원으로 증가했다.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등으로 사람들이 떠나고 이용객이 급감해 운행 중단 위기에 처했던 중부 내륙지역에 새로운 수익원이 된 셈이다.

관광열차를 이용하는 수요가 늘면서 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 이용객 수도 150만명이 늘었다. 중부 내륙 관광에 초점을 맞춘 O트레인과 V트레인이 운행하는 중앙·태백·영동선의 경우 연계 노선을 이용하려는 신규 수요가 132만명을 넘어섰다. 남도해양열차인 S트레인이 운행하는 경전선은 18만명을 웃도는 연계 수요를 이끌어 냈다. 코레일 관계자는 “관광열차를 타기 위한 직간접 이용 승객만 300만명”이라며 “지역 맛집을 주요 역에 입점시켜 죽었던 상권을 살리는 등 지금까지 지역 경제에 1456억원의 생산과 1840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03-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