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후예’ 경제효과 1조원 넘지 말입니다”

“‘태양의 후예’ 경제효과 1조원 넘지 말입니다”

입력 2016-04-29 09:17
수정 2016-04-29 0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직·간접 수출,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 등

중국을 휩쓸며 한류 드라마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한 ‘태양의 후예’가 직·간접적으로 1조원 넘는 경제효과를 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29일 “한류 수출의 파급효과 - 드라마 ‘태양의 후예’ 사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이 제작을 지원한 드라마 ‘태양의 후예’는 중국(400만 달러)·일본(160만 달러) 외에 대만, 홍콩, 필리핀, 베트남 등 아시아 지역과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지역을 포함해 세계 32개국에 수출될 예정이다.

현재 확인된 수출액은 약 70억원이다.

연구소는 국내 드라마 중 최대 수출작으로 꼽히는 ‘대장금’의 87개국 130억원 판매 사례에 근거해 ‘태양의 후예’의 총 직접수출 판매액이 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소는 이어 간접 수출과 생산·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광고효과를 포함해 1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우선 자동차 수출액이 1천500억원, 관련 소비재와 한류관광 수출액이 1천480억원으로 총 간접수출액이 2천980억원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한류 관광 수출액의 경우, 연구소는 과거 ‘별에서 온 그대’와 ‘대장금’의 사례를 반영해 10만 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어 한국관광공사의 2014년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에 근거해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액을 1천102달러로 잡아 한류 관광 수출효과를 예상했다.

이 밖에도 연구소는 ‘태양의 후예’의 간접적인 생산유발 효과가 5천849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1천951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연구소는 직접수출을 통한 취업유발 효과가 151명, 간접 수출을 통한 취업유발 효과가 4천369명 등 ‘태양의 후예’를 통해 총 4천520명의 취업유발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문화콘텐츠 산업은 해당 상품의 수출 외에 소비재 수출, 관광 효과, 광고효과, 국가 브랜드 개선 효과 등 간접유발효과를 통한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이 타 산업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연구소가 2001~2011년 우리나라 문화상품과 소비재 수출액으로 구성된 92개국 패널 데이터를 회귀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화상품 수출이 1% 증가하면 관련 소비재의 수출은 0.03% 증가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문화상품을 100달러 수출하면, 약 230달러의 소비재 수출을 견인하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소는 “특히 중국의 엔터테인먼트 시장이 확대되면서 최근 금융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해외 합작 영화 등의 분야에 지원을 확대하고 새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