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료 못 낸 한진해운, 남아공서 벌크선 억류돼

용선료 못 낸 한진해운, 남아공서 벌크선 억류돼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5-25 22:50
수정 2016-05-26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적 선사 선박 억류는 첫 사례

1100억 체납… 새달 3배 늘 듯

한진해운 선박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억류됐다. 한진해운이 해외 선주 측에 용선료를 제때 지급하지 않아 선주가 실력 행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법정관리 중인 STX팬오션 선박이 수차례 해외에서 억류된 적은 있지만 국적 선사인 한진해운 선박이 억류되기는 처음이다.

25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의 8만 2158DWT급 벌크선(철광석·곡물 운반선)인 ‘한진패라딥’호가 지난 24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억류됐다. 한진해운에 배를 빌려준 선주가 돈을 받지 못하자 더이상 참지 못하고 선박을 담보로 삼은 것이다. 억류가 되면 화물 주인(화주)과도 분쟁이 생긴다. 정해진 기일까지 화물을 운반하지 못한 ‘페널티’(벌칙)를 모두 떠안게 된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밀린 용선료가 화근이 된 것 같다”면서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해당 선주, 화주와 협상 중”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한진해운 선박이 추가로 억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한진해운의 주력 선종인 컨테이너선(용선 58척)도 수개월째 용선료를 내지 못하고 있어서다. 영국 해운전문지 로이드리스트에 따르면 한진해운은 캐나다 선주사인 시스팬 측에 석 달치에 해당하는 용선료 1160만 달러(약 138억원)를 연체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은 벌크선과 달리 화주가 여럿이라 협상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또 얼라이언스(해운동맹)의 다른 화물까지 함께 싣고 있기 때문에 동맹 관계에도 큰 차질을 빚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선 억류만은 막아야 하는 상황이다. 한진해운 측은 “자산 매각 등으로 현금이 들어오는 대로 용선료를 갚아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억류가 한진해운의 자금 사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어 용선료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해외 선주들이 더 큰 손실을 염려해 ‘발’을 뺄 수 있기 때문이다. 용선료 협상의 첫 상대였던 시스팬도 한진해운의 용선료 인하 요구를 거절한 바 있다. 채권단은 한진해운이 용선료 1100억원을 체납하고 있으며, 다음달 연체료는 3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5-2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