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화물연대 운송거부 감소세…집단행동 동력 약화”

정부 “화물연대 운송거부 감소세…집단행동 동력 약화”

입력 2016-10-13 11:20
수정 2016-10-13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물류차질 거의 없고 항만 운영도 양호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참여율이 계속 줄어들어 사흘째 기준으로 10%대까지 떨어졌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기준으로 컨테이너 차량 운전자 8천377명 가운데 운송회사의 지시를 거부하거나 연락을 두절한 운전자는 한 명도 없었다.

명시적 거부 의사 없이 개인적 사유를 들어 운송에 참여하지 않은 운전자는 891명(10.6%)으로 집계됐다. 첫날 1천426명(17%), 둘째날 919명(11%)에 이어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는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대표 업체인 CTCA(통합물류협회 컨테이너 운송위원회) 소속 15개사와 일반운송업체 77개사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전체 컨테이너 차량 2만1천757대의 38.5%에 해당한다.

나머지 62%가량은 소규모 운송업체에 소속돼 개별적으로 영업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운송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지만 운송거부에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화물연대 소속 운전자 중 집단운송거부 참여자가 거의 없고 비화물연대 운전자의 운송거부 동조 움직임도 나타나지 않으면서 물류차질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전날 기준 전국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평소의 106%인 6만4천868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로 전날보다 19.21% 증가했다.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은 58.6%, 부산항은 67.6%로 양호한 수준이다. 컨테이너 장치율은 통상 85%에 이르면 항만 운영에 차질을 빚는다.

부산 신항, 의왕 컨테이너기지(ICD) 등지에서 집회를 벌인 화물연대 소속 운전자는 첫날 3천900여명, 둘째날 3천300여명에서 셋째날 2천400여명(모두 경찰 추산)으로 감소했다.

이들은 단순 운송 미참여자로 분류되거나 집회 참석 후 업무에 복귀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국토부는 파악했다.

집회 도중 일부 운전자들이 경찰관을 폭행하거나 정상운행하려는 운전자의 운송방해 행위를 벌이면서 전날 기준으로 총 54명이 연행됐고 이 중 4명에는 구속영장이 신청됐다.

화물연대는 물류거점에서 대규모로 벌이던 집회를 지역별로 분산해 전개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부산, 광양, 평택 등지에서 산발적 집회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각 지자체가 대비하고 있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국토부는 물류차질 대비책으로 군 위탁 컨테이너 화물차 60대를 부산, 광양에 배차했으며 지방국토사무소와 한국도로공사의 컨테이너 화물차 20대를 의왕 ICD와 부산항에 투입했다.

운휴차량은 237대가 운송에 참여했고 자가용 화물차 60대는 유상운송 허가를 받아 대체수송에 활용될 준비를 마쳤다.

국토부가 운영하는 24시 비상 콜센터에는 운송의뢰 154건, 통행료 면제 문의 116건, 자가용 유상운송 허가문의 21건, 기타 68건 등 총 359건이 들어왔다. 운송방해 행위는 접수되지 않았다.

전날에는 르노삼성자동차가 2천대의 수출예정 차량 운송을 부산 신항까지 에스코트해달라고 경찰에 요청해 보호조치가 이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화물연대 집회 현장에서 참여자가 이탈해 강도가 약화하는 등 집단행동 동력이 약화하는 모습”이라며 “물류차질은 거의 없으나 대체수송수단을 활용한 운송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