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호재 많은 제주·서울 마포 땅값 ‘들썩’…홍대상권 ‘인기’

개발호재 많은 제주·서울 마포 땅값 ‘들썩’…홍대상권 ‘인기’

입력 2017-02-22 11:11
수정 2017-02-22 1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토교통부가 22일 발표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중 시·군·구 단위에서 가장 상승률이 높은 곳은 18.81%를 기록한 제주도 서귀포시였다.

이곳은 혁신도시와 제2공항 신설, 제주헬스케어타운 조성 사업 등 호재가 넘쳐 땅값뿐만 아니라 앞서 발표된 개별 단독주택 공시지가도 전국 1위인 18.35%의 상승률을 보인 바 있다.

2위도 제주 제주시(18.54%)로, 서귀포 개발의 영향으로 유입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가 상승폭이 높았다.

지가 상승률 3위는 부산 해운대구를 제치고 서울 마포구(12.91%)가 차지해 눈길을 끈다.

홍대 앞 및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상권이 활성화하고, 경의선로 공원화 및 편리한 교통에 따른 직주근접성 덕분에 거주여건도 좋아지면서 지가 상승률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부산 해운대구(12.12%)와 연제구(12.09%)가 땅값 상승률이 높았다. 이들 지역은 최근 건설 비리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해운대 엘시티 사업과 동부산관광개발사업, 연산4주택 재개발 준공 등 개발호재로 땅값이 많이 올랐다.

국토부는 서울 시내 주요 상권에 속한 필지를 묶어 평균치를 내는데, 마포구 상수동과 서교동, 동교동 일대에 걸쳐 있는 홍대앞 상권은 땅값 상승률이 18.74%를 기록했다.

홍대앞 상권을 좀더 세부적으로 보면 상수동이 28.54%, 서교동은 16.48%, 홍대인근이 18.74%, 동교동은 15.3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련된 맛집이 많아 요즘 다시 조명받고 있는 중구 이태원동과 한남동 인근 이태원 상권은 10.55% 올랐다.

이 외에 강남역 인근 상권은 5.35%, 가로수길 상권은 5.76% 올라 전국 평균(4.94%)보다는 상승률이 높았다.

한편, 독도의 경우 동도의 접안시설인 독도리 27(1천945㎡)는 작년 98만원에서 올해 110만원으로 12.24% 올랐고 서도의 임야인 독도리 20(8만8천18.0㎡)은 11.90% 상승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