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못넘은 ‘3만弗 벽’ 중진국의 함정에 빠지나

10년째 못넘은 ‘3만弗 벽’ 중진국의 함정에 빠지나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7-03-28 22:48
수정 2017-03-29 0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1인당 국민총소득 2만 7561弗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 7000달러대에 머물렀다.
2006년(2만 795달러) 처음으로 2만 달러 벽을 돌파한 이후 10년이 지나도록 3만 달러의 문턱을 못 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성장률은 2.8%로 잠정 산출됐다.

28일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 7561달러로 집계됐다. 전년(2만 7171달러)에 비해 고작 1.4% 늘면서 3만 달러대 진입에 또 실패했다. 2%대의 저성장과 원·달러 환율 상승이 그 이유로 분석됐다. 지난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160.5원으로 전년보다 2.6% 올랐다. 원화가치 하락(환율 상승)이 일어나면 달러화로 표시하는 GNI 환산 수치도 작아진다.

●日·獨은 5년 만에 ‘3만 달러 도달’

문제는 2만 달러대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과 같은 2%대 성장이라면 올해와 내년에도 3만 달러의 벽을 넘어서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자칫 성장동력 약화로 선진국에 도달하지 못하는 ‘중진국의 함정’에 빠질 수도 있다. 1인당 GNI는 한 나라에서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보통 3만 달러를 선진국 진입의 기준으로 본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1인당 GNI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에 도달하는 데 각각 9년과 8년이 걸렸다. 일본과 독일은 5년 만에 3만 달러의 벽을 깼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각각 13년, 14년이 걸렸다.

1인당 GNI가 3만 달러 이상이면서 인구 5000만명 이상인 ‘30·50클럽’에는 세계에서 이 6개 나라만 가입돼 있다. 우리나라가 일곱 번째 가입이 유력하지만 시점이 자꾸 지연되고 있다.

●작년 성장률 2.8%로 잠정 산출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당초 속보치 발표 때보다 0.1% 포인트 오른 2.8%로 조사됐다.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지난해 총저축률은 35.8%로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비 지출 비중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총저축률이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7-03-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