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하루 114개 생기고 66개 문 닫았다

가맹점 하루 114개 생기고 66개 문 닫았다

입력 2017-07-12 10:04
수정 2017-07-12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맹본부 4년간 60%↑…가맹본부는 한식, 가맹점은 편의점이 가장 많아

국내에서 영업 중인 가맹본부가 4년 만에 6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가맹점은 하루 평균 약 114개가 생겨나고 66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본부는 한식·치킨·분식 업종이 많았고 가맹점은 편의점·치킨·한식 등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편의점·세탁·빙수 등 일부 업종은 소수 브랜드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이 12일 발표한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 현황’을 보면 지난해 기준 가맹본부 수는 4천268개로 전년(3천910개)보다 9.2% 증가했다.

정보공개서는 가맹본부가 가맹점을 모집하기 전에 의무적으로 작성해 공정거래위원회에 등록하는 문서로 가맹사업 현황, 계약 조건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공정거래조정원이 올해 정보공개서 내용을 분석해 공개한 것은 지난해 말 수립한 업무계획에 따른 것이다.

가맹본부 수는 2012년 2천678개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 4년 만에 59.4%나 급증했다.

2014년 17.1%, 2015년 12.3%를 기록한 가맹본부 증가 폭은 지난해 한 자릿수로 떨어졌지만, 여전히 10%에 가까운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가맹본부 브랜드(영업표지)는 5천273개로 전년(4천844개)보다 8.9% 늘었다.

업종별로는 외식업이 4천17개(76.2%)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서비스업(944개), 도소매업(312개) 등이 뒤를 이었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한식이 1천261개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치킨 392개, 분식 354개, 주점 339개, 커피 325개 등 외식업종 브랜드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015년 기준 가맹점 수는 21만8천997개로 전년(20만8천104개)보다 5.2% 늘었다. 가맹점 수 증가 폭은 전년(7.2%)보다 다소 줄어든 것이다.

업종별로는 외식업이 10만6천890개(48.8%)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 6만7천200개(30.7%), 도소매업 4만4천907개(20.5%) 등을 기록했다.

세부업종별로는 편의점(3만846개)이 가장 많았고 치킨(2만4천678개), 한식(1만9천313개), 외국어 교육(1만7천183개), 교과 교육(1만4천769개) 등 순이었다.

가맹점 수 상위 101개 브랜드의 가맹본부가 보유한 가맹점 수는 11만4천249개로 전체 가맹점의 52%를 차지했다.

가맹점 수 상위 10개 브랜드의 가맹본부는 전체 가맹점 수의 20%인 4만4천89개의 가맹점을 운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부 업종은 소수 브랜드가 대다수의 가맹점을 보유하는 등 심한 편중을 보였다.

가맹점 수 상위 3개 브랜드가 전체 50% 이상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는 업종은 편의점(85%), 세탁(78%), 아이스크림·빙수(76%), 제과제빵(71%), 패스트푸드(68%), 화장품(57%) 등이었다.

2015년 기준 신규 개점한 가맹점 수는 4만1천851개로 전년(4만3천9개)보다 2.7% 감소했다. 하루 평균 114개의 가맹점이 생겨난 것이다.

업종별로는 외식업이 2만2천666개(54.2%)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1만1천523개), 도소매업(7천673개) 순이었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편의점이 5천755개로 가장 많았고 한식이 4천552개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2015년 폐점한 가맹점 수는 2만4천181개로 하루 평균 66개가 넘는 가맹점이 문을 닫았다. 폐점 가맹점 수는 전년(2만3천646개)보다 535개 늘었다.

폐점률은 9.9%로 전년(10.2%)보다 0.3%포인트(p) 하락했다.

외식업 폐점 가맹점 수가 1만3천329개로 가장 많았고 폐점률도 11.1%로 가장 높았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교과 교육 업종 가맹점이 2천885개가 사라져 가장 많았고 치킨(2천852개), 한식(2천805개)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가맹본부의 평균 가맹사업기간은 4년 8개월로 5년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기간이 5년 미만인 브랜드는 전체의 67.5%로 가장 많았고 5년 이상 10년 미만은 19.9%, 10년 이상은 12.6%였다.

2015년 기준 가맹점 연평균 매출액은 3억825만원이었다.

이는 가맹점 매출을 단순 평균한 것으로 가맹점의 면적이나 운영 비용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조정원은 설명했다.

숙박업종이 17억3천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종합 소매점(14억 1천만원), 오락(5억4천만원) 등 순이었다.

2015년 기준 직영점은 1만6천854개로 전년(1만5천459개)보다 9%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7천167개(42.5%)로 가장 많았고 외식업(5천506개), 서비스업(4천181개) 등이 뒤를 이었다.

세부업종별로 보면 슈퍼마켓 등 종합소매점 업종은 직영점 비중(65.7%)이 가맹점보다 많았고 화장품 업종도 직영점 비율(43.9%)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