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중위가격 수준의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시 가구 연평균 소득 기준으로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9.2년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내 집 마련’에 드는 기간은 미국 뉴욕, 일본 도쿄보다도 3~5년 긴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의 아파트 단지[서울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의 아파트 단지[서울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입법조사처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주택 중위가격은 4억 3485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주택 중위가격은 주택 매매 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주택의 매매 가격을 뜻한다.
서울 주택 중위가격은 일본이 대표 도시인 도쿄(3억 1136만원·이하 각 국가 주택 가격은 11월 15일 환율 기준), 오사카(1억 9808만원)보다 각각 1억 2349만원, 2억 3677만원 높았다.
미국 워싱턴(4억 3883만원), 뉴욕(4억 4340만원)과는 비슷했고 홍콩(7억 7486만원), 영국 런던(6억 4473만원)보다는 낮았다.
한국보다 주택 중위가격이 싼 곳은 도쿄, 오사카 외에도 미국 시카고(2억 7222만원), 애틀랜타(2억 1356만원), 영국 리버풀(2억 148만원), 캐나다 오타와(2억 7589만원) 등이 있었다.
통계청의 2인 이상 비농가 도시 가구 연평균 소득(4728만원)을 적용하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9.2년을 모아야 서울에서 중위가격인 주택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일본 도쿄, 싱가포르, 미국 뉴욕보다도 3~5년 긴 수준이다.
일본 도쿄 거주 가구는 4.7년, 싱가포르 4.8년, 미국 뉴욕 5.7년 소득을 모으면 중위가격 주택을 마련할 수 있었다.
내 집 마련이 힘들다 보니 자신이 보유한 주택에서 사는 자가점유비율도 다른 국가보다 낮은 편이었다.
한편 전국 평균 주택 중위가격은 2억 2853만원으로, 서울 주택 중위가격은 전국 평균의 1.9배에 달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