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온열질환자 61% 급증…지난주에만 556명 발생

폭염에 온열질환자 61% 급증…지난주에만 556명 발생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7-23 09:46
수정 2018-07-23 09: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총 1천43명, 지난주 7명 숨져…총 사망자 10명으로 증가

연일 이어지는 ‘가마솥더위’에 열탈진,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전국이 폭염에 시달린 지난주에만 556명이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 집계를 시작한 지난 5월 20일부터 이달 21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1천43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397명)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지난 한 주(7월 15~21일) 동안 전체 온열질환자의 약 절반인 556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도 크게 늘면서 올해 온열질환 전체 사망자가 10명으로 늘었고 이중 7명이 지난주에 숨졌다.

신고된 온열질환 중에서는 열탈진(52.3%)이 절반 이상이었다. 이어 열사병(25.1%), 열경련(11.8%), 열실신(7.5%) 순이었다.

발생 장소는 야외 작업(292명)이나 논·밭일(162명) 등이 43.5%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길가나 공원 등에서 야외 활동을 한 경우도 420명으로 40.3%였다. 실내에서 보고된 경우도 169명(16.2%)에 달했다.

발생 시간대는 환자의 절반인 541건이 정오에서 오후 5시에 발생했다. 오후 5시에서 6시에 보고된 경우도 101건이었다.

지역별로는 경남(165명), 경기(125명), 경북(116명) 순으로 많았다.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곳은 경남, 경북, 울산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78.4%(818명)로 여성보다 많았고, 연령으로는 65세 이상이 전체의 28.4%(296명), 50대가 21.8%(227명)를 차지했다.

올해 온열질환으로 인한 전체 사망자 10명 중 5명은 80세 전후의 고령자, 2명은 10세 미만의 어린이였다. 폭염에 취약한 고령자와 어린이는 더욱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이다.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증상이 나타나고, 방치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하고 어지러움과 두통, 메스꺼움 등 온열질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해야 한다.

가능하면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위험 시간대’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와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해 온열질환을 예방해야 한다.

술 또는 카페인 음료는 체온 상승이나 이뇨 작용을 유발하므로 폭염 시에는 생수나 이온음료 등을 마시는 게 좋다.

어린이나 노약자는 일반 성인보다 체온조절기능이 약해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하므로 본인은 물론 보호자가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집안과 차 등 창문이 닫힌 실내에 어린이나 노인을 홀로 남겨두어서는 안 된다. 노약자나 어린이를 남겨두고 장시간 외출할 때에는 이웃이나 친인척에게 보호를 부탁하는 게 좋다.

또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뇌졸중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표] 2018년 질병관리본부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2018.07.21 기준, 단위=명)

┌──┬─┬─┬─┬─┬─┬─┬─┬─┬─┬─┬─┬─┬─┬─┬─┬─┬──┐

│Week│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합계│

│(주)│주│주│주│주│주│주│주│주│주│주│주│주│주│주│ │주│ │

│ │ │ │ │ │ │ │ │ │ │ │ │ │ │ │주│ │ │

├──┼─┼─┼─┼─┼─┼─┼─┼─┼─┼─┼─┼─┼─┼─┼─┼─┼──┤

│2017│ │22│9 │16│50│34│64│18│27│20│25│31│44│88│15│7 │1574│

│(사 │ │ │ │ │ │ │(1│1 │0 │9 │4 │1 │ │(2│(1│ │(11)│

│망) │ │ │ │ │ │ │) │(1│(3│(1│(1│(1│ │) │) │ │ │

│ │ │ │ │ │ │ │ │) │) │) │) │) │ │ │ │ │ │

├──┼─┼─┼─┼─┼─┼─┼─┼─┼─┼─┼─┼─┼─┼─┼─┼─┼──┤

│2018│11│33│36│8 │35│46│52│26│55│ │ │ │ │ │ │ │1043│

│(사 │ │ │ │ │(1│ │(1│6 │6 │ │ │ │ │ │ │ │(10)│

│망) │ │ │ │ │) │ │) │(1│(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운영기간: (2017년) 2017.5.29.~2017.9.8. (2018년) 2018.5.20.~2018.7.21.

※ 주(week) 기준은 ‘일요일~토요일’ 로, 2017년 주는 2018년 주 해당 날짜 적용(예: 2017년 29주차 2017.7.15~21)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