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상승에 폭염, 공공요금까지 들썩…물가 흐름 심상찮다

유가 상승에 폭염, 공공요금까지 들썩…물가 흐름 심상찮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24 09:57
수정 2018-07-24 0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에 버스·택시·가스요금 인상 조짐

국제유가 상승과 폭염에 공공요금 줄인상이 가세하면서 하반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진다는 전망이 나온다.

소비자물가 움직임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중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유가 오르며 전방위 압박…공공요금도 들썩 조짐

24일 한국은행과 금융시장 등에 따르면 폭염과 공공요금 인상 조짐 때문에 하반기와 내년 초 물가 인상 압력이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유가도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올 초 배럴당 60달러대 초반이던 국제 유가(두바이유 기준)는 올해 5월 74.4달러까지 치솟았다.

6∼7월에도 70달러대 안팎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등으로 국제유가는 당분간 배럴당 70달러를 웃도는 수준이 지속하리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 특성상 유가 상승은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 생산비용을 증대시켜 전방위로 물가 상승 압력을 가한다.

국제유가 상승은 공공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액션’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7월 도시가스 요금은 이미 3.9% 올랐다.

도시가스 요금은 두 달마다 요금이 책정되는데, 유가 등 원재료 가격이 4개월 뒤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

9월에도 도시가스 요금은 3∼4%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택시와 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도 인상설이 솔솔 나오고 있다.

서울, 인천, 광주, 대전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택시요금 인상을 위한 용역을 최근에 끝냈다.

대구, 경기, 경남, 제주에서도 택시요금 인상을 위한 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지자체 차원의 용역이 끝나면 시·도 의회 보고·심의 등을 거쳐 올해 하반기나 내년 초에 실제 택시요금이 오를 수 있다.

대전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20% 내외 버스 요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 경기 수원·광명에서도 올해 말과 내년 초 사이 상하수도 요금 인상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민생 안정 차원에서 상반기까지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해왔다.

한은에 따르면 공공요금과 통신요금, 실손보험료, 의료검사비 등 소위 ‘관리 가격’ 억제가 2분기 근원물가 상승률을 0.2∼0.3%포인트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 폭염까지 가세…물가 상승세 확대, 금리 인상 시기 앞당길까

폭염도 농산물 작황, 가축·어패류 생육 환경을 악화시켜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지난해에도 폭염 때문에 한여름 밥상물가가 고공비행했다.

지난해 8월 채소류 물가는 1년 전보다 22.5%, 과실류는 22.3%, 축산물은 8.6%, 수산물은 6.0% 올랐다.

올해는 폭염이 1994년 이후 가장 심한 수준이라 물가에 미칠 영향도 점차 커지는 모양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배추와 무는 이달 중순 들어 평년보다 20∼40%대 가량 가격이 올랐다.

올해 들어 17일 오전까지 닭, 오리, 돼지 등 가축 79만마리가 폭염 때문에 폐사했다. 전남 함평에선 최근 양식장 돌돔이 집단 폐사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최저임금 인상, 임대료 인상 등도 상품·서비스 가격에 반영돼 물가 오름세를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올 초부터 최저임금 상승에 편승해 외식 물가도 계속 꿈틀대고 있다.

가공식품 가격도 오름세다.

우유 가격이 다음 달부터 최소 50원 이상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우유를 원재료로 삼는 아이스크림, 빵, 커피값도 덩달아 오를 소지가 생겼다.

제과·식품업체들은 대표 상품들의 가격을 올리는 추세다.

이런 흐름이 지속해 한은 물가 목표(2%)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물가 상승률이 확대하면 금리 인상 요건을 충족시킬 수도 있다. 상반기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4%에 그쳤다.

그러나 반론도 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언급되는 물가 상승 요인은 모두 공급측 요인”이라며 “고용 위축 때문에 당분간 수요측 물가 상승 압력은 높지 않은데 공급 요인에 의한 물가 상승 때문에 금리를 올리면 경제에 부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서울시가 제17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위원회에서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을 통과시킨 것을 환영했다. 그간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으면서도 구릉지형으로 인해 도시정비가 어려웠던 시흥동 지역이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7개 동 473세대(임대주택 95세대 포함) 공급 ▲2030년 준공 예정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 강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합적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된다. 호암산 조망을 고려한 동서 방향 통경축 확보로 열린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아치형 스카이라인으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태양광패널(BIPV) 적용으로 친환경 입면을 특화한다. 도로도 넓어진다. 대지 내 공지 활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구릉지 레벨차를 활용한 접근성 높은 보행로를 설계한다. 단지 중앙 마당을 통한 주민 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시흥대로 36길변에 근린생활시설을 설치하고, 개방형 공동이용시설(스터디 카페) 운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