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0.1% 근로소득자 1만8천명, 하위 17% 324만명만큼 번다

상위 0.1% 근로소득자 1만8천명, 하위 17% 324만명만큼 번다

신성은 기자
입력 2019-10-06 11:27
수정 2019-10-06 1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위 0.1% 근로소득자가 중위 소득자의 31배를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1만8천명인 이들이 벌어들인 근로소득은 하위 17%까지인 324만명이 버는 근로소득과 맞먹는 수준이었다. 월급쟁이 사이에서도 소득 양극화가 뚜렷한 것이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이 국세청의 ‘귀속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상위 0.1%(1만8천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8억871만원이었다.

근로소득 천 분위는 지난해 2017년 국내 근로소득자 1천800만5천534명의 소득을 백분위보다 더 잘게 쪼개 나타낸 분포로, 구간 내 소득자 간 차이는 줄고 구간별 소득 격차는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소득이 딱 중간인 50% 구간(중위소득)의 근로자들은 연간 2천572만원을 벌었다.

상위 0.1%가 중위 소득자보다 31.4배 더 버는 셈이다.

월평균으로 따지면 상위 0.1%는 매달 6천739만원을 벌었다. 중위 소득자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214만원이었다.

상위 0.1%의 총 근로소득은 14조5천609억원으로, 전체 근로소득자 총급여(633조6천114억원)의 2.3%에 해당했다.

1만8천명에 불과한 상위 0.1%가 상위 83~100%(하위 17% 구간·324만997명)의 총 근로소득(15조4천924억원)과 맞먹는 돈을 벌어들인 것이다.

상위 1% 구간(18만55명)의 연평균 근로소득은 2억6천417만원, 상위 10% 구간(18만55명)은 7천557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상위 1%의 총 근로소득은 47조5천652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고, 상위 10%(180만553명)의 총 근로소득은 202조9천708억원으로 전체의 32.0%에 달했다.

2017년 전체 근로자 1천800만5천534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3천519만원이었다.

‘결정세액 0원’의 면세자 구간인 하위 22%에 속하는 414만1천273만명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628만원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근로소득 통계를 분석해보면 2017년까지 봉급 생활자의 소득도 명확하게 양극화돼 있는 추세가 확인된다”며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일용직과 아르바이트 등을 포함하면 실제 근로소득 양극화는 더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소득 3만 달러의 성과가 국민이 실제 체감하는 소득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양극화를 해소하고 내수 경제 선순환을 유도하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견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근로소득 상·하위 10%가 전체 근로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더라도 소득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국회 기재위 소속 민주당 심기준 의원이 국세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로소득 상위 10%가 전체 근로소득의 32%를 차지한 반면, 하위 10%의 근로소득은 전체의 0.7% 수준에 불과했다.

2017년 총급여 기준 근로소득 상위 10%인 180만553명의 근로소득은 전체 633조6천117억원의 32%에 해당하는 202조9천708억원이었다.

또한, 상위 1%인 18만55명의 근로소득은 47조5천652억원으로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상위 1%의 1인당 평균소득은 2억6천417만원으로, 전체 1천800만5천여명의 근로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 3천519만원의 7.5배에 달하는 금액이었다. 하위 10% 근로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인 243만원과 비교하면 100배가 넘는다.

양극화를 나타내는 지표인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값)은 2017년 16.3배였다.

심 의원은 “근로소득 총액이 2013년 498조원에서 2017년 633조원으로 135조원 가까이 늘었지만 상위 1%,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득 하위 가구의 근로소득 감소를 막고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